‘까도녀’가 풀어낸 사랑과 풍자

‘까도녀’가 풀어낸 사랑과 풍자

입력 2013-04-04 00:00
업데이트 2013-04-04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영미 시집 ‘이미 뜨거운 것들’ 발간

최영미 시인
최영미 시인
‘서른, 잔치는 끝났다’고 선언했던 시인 최영미(52)가 연애의 세계에 복귀한 뒤 쓴 시들이 포함된 다섯 번째 시집 ‘이미 뜨거운 것들’(실천문학 펴냄)을 냈다. 최영미는 3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 음식점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이미 젖은 신발은/ 다시 젖지 않는다// 이미 슬픈 사람은/ 울지 않는다// 이미 가진 자들은/ 아프지 않다// 이미 아픈 몸은/ 부끄러움을 모른다// 이미 뜨거운 것들은/ 말이 없다”는 시 ‘이미’를 낭송하며 자신의 시집을 소개했다. 변하지 않은 얼굴, 군살 없는 늘씬한 몸매로 여전히 ‘까도녀’(까칠한 도시 여자)의 느낌이 물씬했다.

4년 만에 내놓은 시집에 담긴 연애시에 대해 그는 “나는 글로 사기를 못 친다. 2부의 연애시 ‘연인’, ‘이미’, ‘의식’과 같은 시는 연애를 하고 있으니 쓴 시들이다”고 담백하고 명쾌하게 밝혔다. 5권의 시집 중 네 번째를 제외하고 연애하며 시를 쓰고 시집을 냈다. 그는 여동생에게 ‘사랑을 시작했다’며 털어놓자 ‘여자 아니냐, 나이가 몇이냐, 한국인이냐’는 질문을 받았다며 “1980년대를 경험한 비슷한 나이의 한국 남성으로, 연애한 지 5개월 됐다”고 했다. 2008년 춘천으로 이주했다가 지난해 가을 다시 경기 일산으로 돌아온 때와 맞물려 있다.

당시 일산에 살던 최영미가 춘천으로 이사한 이유는 ‘하우스 푸어’. 아파트 대출금을 감당하지 못하고 춘천으로 떠났다. 춘천에서 최영미는 “아무 데도 속하지 않고/ 어디서도 불러주지 않는/ 시간이 남아도는 시인은/ 국가와 국민을 사랑하지 않는 시골 시인은/ 국가는커녕 자기 자신을 사랑하기조차 무척 어려운 나는, /담뱃재를 털며/풍자시를 연습한다”(‘풍자시 연습’ 중)고 자조했다.

수도권 삶으로 컴백한 이유를 시인은 “건강이 나빠진 부모님을 춘천~서울을 오가며 병간호하기 어려웠고, 무엇보다 소통의 속도가 빨라지는 세상에서 잊히고 있다는 위기감이 들었다”고 말했다. 1992년 창비 계간지 겨울호로 등단한 그는 시인으로 21년째 살고 있다.

글 사진 문소영 기자 symun@seoul.co.kr

2013-04-04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