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어른의 경계, 중학생의 성장통

아이와 어른의 경계, 중학생의 성장통

입력 2013-05-22 00:00
업데이트 2013-05-22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비, 50번째 청소년문학집 ‘파란 아이’

중학생은 이상한 존재다. 열넷에서 열여섯. 당연한 말이지만 초등학생도, 고등학생도 아니다. 아동문학평론가 박숙경의 말을 빌리면 “아이와 어른의 경계에서 몸과 마음의 급격한 변화를 겪는 대상”이다.

창비가 50번째로 펴낸 청소년문학 ‘파란 아이’는 중학생을 위한 소설집이다. 공선옥, 구병모, 김려령, 배명훈, 이현, 전성태, 최나미 등 작가 7명이 중학생을 소재로 쓴 단편을 모았다. 좌충우돌 방황하는 청소년의 다종다기한 고민을 다룬다는 점에서 소설집이라는 형식은 적합한 선택이다.

표제작인 김려령의 ‘파란 아이’는 죽은 누나의 이름을 물려받은 소년이 자신의 진짜 이름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다. ‘선우’의 입술은 익사한 누나처럼 파랗다. 딸을 잊지 못하는 엄마는 선우를 딸처럼 키운다. 죽음의 희미한 냄새가 동전의 뒷면처럼 성장의 통증과 맞물린다. 성적 정체성에 대한 혼란도 뒤섞인다. 이름에 대한 고민은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기도 하다.

작가들이 그리는 중학생은 평면적이지 않다. 중학생은 ‘남자 되기’에 몰입해 위태롭게 가슴을 부풀리는 나이(전성태 ‘졸업’)인 동시에 “외로움이 뭔지도, 아름다움이 뭔지도 알 나이”(공선옥 ‘아무도 모르게’)다. 우주에 전쟁이 터지든 말든 여자 친구의 뾰로통한 표정에 더욱 신경을 쓰고(배명훈 ‘푸른파 피망’) 부모의 보살핌을 떠나 홀로서기를 고민하기도(이현 ‘고양이의 날’) 한다. 자본주의의 비정한 논리(구병모 ‘화갑소녀전’)와 튀는 개인을 용납하지 않는 집단의 불합리(최나미 ‘덩어리’)를 조금씩 체득하는 것도 이때부터다.

중학생의 다채로운 고민을 그리면서도 작가들은 성장과 변화라는 열쇠말은 놓치지 않는다. 공선옥의 문장은 시나브로 열매 맺는 십대의 꽃봉오리를 예민하게 포착한다. “나는 아무도 모르게, 다른 아이가 되어 버렸다. 사람이 어제와 다른 사람이 되는 것은 그렇게 아무도 모르게 되는 것이다.” 9500원.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2013-05-22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