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영의 독…로마를 멸하다

번영의 독…로마를 멸하다

입력 2013-06-15 00:00
업데이트 2013-06-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몽테스키외의 로마의 성공, 로마제국의 실패 /샤를 드 몽테스키외 지음/김미선 옮김/사이/336쪽/1만 5400원

“로마가 멸망한 것은 내부 분열 때문이 아니었다. 얄궂게도 로마에게 해악이 된 것은 바로 로마의 번영이었다.” ‘법의 정신’으로 저명한 18세기 계몽주의 사상가 몽테스키외가 도시국가 로마의 탄생에서 동로마 제국의 멸망에 이르기까지 2000년 로마사 전체를 살펴보면서 로마의 번영과 멸망의 원인을 분석한 이 책에서 한 말이다.

저술가들은 대개 로마를 패망케 한 것은 내부의 분열과 그로 인한 혼란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저자는 로마에게 분열은 필연적이었고, 그런 분열은 늘 있어 왔으며, 또 늘 존재해야 한다는 것은 생각해 보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는 로마는 정복 사업의 결과로 ‘번영’을 누리게 됐다고 설파한다. 그러나 번영이 문제였다. 그것이 온갖 분란을 일으켰고 민중의 소요를 내전으로 격화시켰으며, 로마를 이민족의 먹잇감으로 전락시키는 기회를 제공했다고 말한다.

책은 정치체제의 변화에 따라 로마의 역사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먼저 도시국가인 초기 로마를 융성케 한 왕정, 이어 왕들이 추방되면서 들어서게 된 공화정, 그리고 무정부 상태가 종식되면서 황제가 통치하는 제국의 등장과 쇠망이다.

저자는 왕정과 공화정 체제에서 로마가 번성할 수 있었던 내적·외적 주요 원인들을 살펴본다. 그는 로마가 융성하게 된 내적 요인들로 전리품의 현명한 분배, 자신들의 제도보다 훌륭하다고 여겨지는 외국 관습의 즉각적인 수용, 끊임없이 계속되는 전쟁을 통한 군사기술의 향상, 토지의 공평한 분배, 뛰어난 정치 지도자와 명장들의 연이은 등장, 청빈을 떳떳이 여기는 미덕, 로마인이 누린 자유 등을 언급하고 있다. 이어 로마가 세계의 주인이 될 수 있었던 외적 요인들을 다룬다. 당시 로마의 주변 국가들과 적국, 특히 카르타고에 주목했다. 그리고 카르타고를 굴복시킨 뒤 어떻게 주변 민족들을 상대로 본격적인 정복 사업을 추진했는지도 추적한다.

정복 사업과 그것이 가져다 준 번영의 폐해로 공화정이 막을 내리면서 제국의 시대로 들어선 로마는 거대해진 덩치에 맞는 체질 개선 없이 ‘제국의 자기 제어 메커니즘’이 붕괴되면서 흔들리게 된다.

로마는 ‘승리의 과잉’ 자체에서 쇠망의 기운이 다가오고 있었다고 지은이는 주장한다. 로마 국력의 발전과 번영, 그 다음에 찾아온 쇠망은 필연적이고도 논리적이라는 것이다. 그는 한 국가의 힘은 정복이 아닌 ‘국가 내부의 건강함’에 의존한다고 말한다. 결국 풍요란 부(富)에 있지 않고 도덕 속에 존재한다는 주장이다.

유상덕 선임기자 youni@seoul.co.kr

2013-06-15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