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수사와 형사의 열정으로 미궁의 사건 해결 ‘현장 리포트’

과학수사와 형사의 열정으로 미궁의 사건 해결 ‘현장 리포트’

입력 2013-06-15 00:00
업데이트 2013-06-15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학수사로 보는 범죄의 흔적/유영규 지음/알마/260쪽/1만 6500원

10여년 전 국내에 처음 방영된 미국 드라마 ‘CSI’는 전문용어였던 ‘과학수사’를 대중화시킨 일등공신이었다. 폐쇄회로(CC)TV, DNA 등 초동수사 단계에서의 증거 자료와 수사 기법에 관한 전문 지식을 일반인들도 줄줄이 꿸 수 있게 됐다. 과학수사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듯 2011년 방영된 한국 최초의 법의학 드라마 ‘싸인’역시 큰 인기를 끌었다.

이 책은 6년 반 동안 굵직한 사건 현장을 누빈 베테랑 신문기자가 생생한 경험과 치밀한 수사기록 분석, 법의학자와 일선 형사의 자문 등을 바탕으로 쓴 과학수사 리포트다. 완전 범죄나 미해결로 남을 뻔했던 사건들이 범죄 현장의 사소한 흔적을 실마리 삼은 끈질긴 과학수사로 결국 해결된 사례들을 소개했다. 택시바퀴에 튄 흙탕물을 토양감정해 범인을 밝혀내고, 시신에 난 타이어 자국을 정밀분석해 교통사고를 위장한 살인 사건의 전모를 파헤치는 과정 등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저자는 36건의 사례를 통해 과학수사의 중요성을 입증하지만 과학수사를 예찬하거나 맹신하는 태도는 경계한다. 또한 과학수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다름 아닌 일선 형사들의 땀방울과 열정임을 강조한다. 동거남에 목졸려 살해된 뒤 백골 시신으로 발견된 20대 여성 살인 사건의 경우 부검을 통해 성형수술을 받은 사실을 파악한 뒤 형사들이 2000여명의 명단을 확보해 일일이 확인하는 노력이 없었더라면 해결되기 힘들었을 것이다.

책은 서울신문에 연재됐던 시리즈를 보완해 묶은 것이다. 연재 당시 온라인 누적 조회수 4000만 건을 기록할 정도로 폭발적인 관심을 모았다.

이순녀 기자 coral@seoul.co.kr

2013-06-15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