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제예찬/마커스 분 지음/노승영 옮김/홍시/376쪽/1만 5000원
우리가 흔히 말하는 ‘복제’(copy)란 무엇일까. ‘베낀다’라는 부정적인 의미도 있지만 어원을 보면 그렇지 않다. ‘풍부하다’ ‘충분하다’ ‘많다’ 등의 어원을 가진 이 단어는 라틴어 ‘코피아’(copia)에서 나왔다. 다시 말해 풍요의 상징어다. 코피아는 로마 동전에도 등장한다. 동전의 뒷면에 새겨진 풍요의 뿔에는 땅의 온갖 소산물이 가득 담겨 있다. 풍요의 뿔을 뜻하는 영어 ‘코뉴코피아’(cornucopia)가 여기에서 비롯됐다.오늘날 복제는 문화 전반에 실핏줄처럼 퍼져 있다. 루이비통 지갑에서 해리포터, 힙합에 이르기까지 온갖 것들이 어디에선가, 어떤 식으로 복제되고 있다. 좋게든 나쁘게든 우리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책, 영화, 노래, 소프트웨어 등이 불법 복제돼 인터넷에 유포되는 것도 한 예이다.
하지만 철학적 측면에서 볼 때는 아직도 충분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 ‘복제예찬’은 문화와 시대를 넘나드는 비교연구를 통해 복제의 역사·문화·철학적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하는 책이다. 명품(짝퉁)과 대중영화 등 오늘날 산업현장 곳곳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물론이고 멀리 그리스 로마 신화의 풍요의 여신 코피아로 거슬러 올라가기도 한다. 플라톤의 미메시스 철학, 몽타주 행위, 불교의 공(空) 사상 등 인류역사 속 복제의 모든 것을 비교연구하며 시공을 초월한 흥미로운 지적 여정을 펼친다.
현대미술, 영화, 음악, 미학사, 비평 이론, 불교 철학 등을 통해 복제가 어떻게 작용하고, 왜 작용하는지, 그 힘의 원천 등을 두루 다룬다는 점에서 특히 눈길을 끈다.
그러면서 복제는 우리가 인간이기 위한 본질적 요소이고, 복제 행위가 없이는 인간일 수 없으며, 우리가 처한 상황을 온전히 깨닫고 복제와 관련된 부분을 찬양해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복제’가 기껏 시시한 단어 하나에 불과한 듯하지만, 인류 문화사의 한 축을 형성한 가치를 지녔음을 새삼 부각시키고 있다.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3-07-13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