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와의 차 한잔] ‘기생충 열전’ 펴낸 서민 교수

[저자와의 차 한잔] ‘기생충 열전’ 펴낸 서민 교수

입력 2013-07-27 00:00
업데이트 2013-07-27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류와 뗄 수 없는 기생충, 그들의 삶 별별 놈이 다 있죠

‘반려동물’이라는 말이 있다.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애완동물이다. 그런데 ‘반려충’도 있다. 바로 기생충이다. 인류의 시작과 함께 지구가 멸망하는 그날까지 인간과 함께 살아갈 생명체다. 우리나라의 경우 반려동물의 대명사인 애완견을 기르는 집이 320만 가구라고 할 때 기생충에 감염된 사람은 약 150만명에 이른다. 인간이라면 누구든 기생충에 감염될 수 있다는 사실에서 보여지듯 기생충은 인간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막역한’ 사이다.

이미지 확대
기생충에 얽힌 비밀을 흥미롭게 책으로 풀어낸 서민 단국대 교수는 여름철에는 날것을 먹지 않는 식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기생충에 얽힌 비밀을 흥미롭게 책으로 풀어낸 서민 단국대 교수는 여름철에는 날것을 먹지 않는 식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기생충은 알게 모르게 우리 몸을 숙주로 살아간다. 그중에는 나쁜 기생충, 착한 기생충, 이상한 기생충이 있다. 그렇다면 어떤 것이 착한 것이고, 어떤 것이 나쁜 것일까. 이러한 질문을 던지며 흥미진진하게 답을 써내려간 책이 ‘기생충 열전’(을유문화사)이다. 사람에게 감염돼 병을 일으키는 기생충들을 중심으로 소개하면서 기생충이 어떻게 태어나 자라고, 어디로 이동하며, 어떤 경로로 감염되고 , 어떤 증상을 일으키는지, 감염 여부는 어떻게 알 수 있는지, 치료방법은 무엇인지 등을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자료 조사차 인터넷을 뒤지다 발견한 블로그에서 ‘어떻게 된 게 일반인이 읽을 만한 기생충 책이 3권밖에 없냐’라는 글을 보는 순간 부끄러움이 생기더군요. 기생충 감염자가 150만명이 넘고 봄·가을로 구충제를 먹는 게 일상화된 나라에서 일반인을 위한 기생충 교양서가 이렇게 없다니 하는 생각에 책을 쓰게 됐습니다.”

책의 저자인 서민(46) 단국대 기생충학과 교수는 요즘 기생충이 멸종했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고 강조한다. 파리나 모기, 바퀴벌레가 그런 것처럼 기생충은 인간보다 더 오래도록 지구에 살아남는 존재들이라는 것이다. 또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사람들이 생선회·간장게장·육회 등을 통해 기생충과 접촉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기생충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사람도 여전히 많다고 말한다.

“일반적인 기생충들은 자신이 편안하게 살기 위해서라도 숙주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조용히 살아가려고 합니다. 하지만 모든 기생충이 얌전하고 착한 것은 아닙니다. 자신이 앞으로 계속 살아갈 숙주, 즉 종숙주가 아닌 잠깐 지나가는 중간숙주에게는 치명적인 피해를 주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중간숙주인 말라리아, 톡소포자충, 림프사상충들은 우리가 조심해야 할 나쁜 기생충들입니다.”

새끼를 낳을 때가 되면 다리 쪽으로 이동, 뜨겁고 아픈 수포를 만들어 물로 뛰어들게 해서 피부를 뚫고 나와 자손 번식의 업을 달성하는 무서운 기생충도 있고, 한쪽 다리나 한쪽 고환만 엄청나게 커지게 만드는 고약한 기생충도 있다는 것이다. 기생충 가운데는 쓸데없이 어렵게 인체 탐험을 하며 돌아다니다가 죽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십이지장에서 알 껍데기를 뚫고 나와 심장과 폐를 거쳐 기도 끝의 식도로 뛰어드는 회충류가 대표적이다. 자신이 살던 곳에서 살짝 아래로만 내려가면 될 일을 굳이 기도를 거슬러 올라가 빙빙 돌다가 죽을 고비를 넘기는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한다. 기생충에 감염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물었더니 “우리나라 사람들은 간디스토마와 장디스토마에 많이 감염된다”면서 무엇보다 날것을 먹지 않는 식습관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서울대 의대 출신인 저자는 “수수께끼로 남은 기생충의 비밀을 밝히는 연구에 앞으로 더욱 주력할 것”이라고 말한다.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3-07-27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