富는 타고난다?… 재물 집착에 대한 충고

富는 타고난다?… 재물 집착에 대한 충고

입력 2013-08-03 00:00
업데이트 2013-08-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의 본심] 루신화 지음/이유진 옮김/ 중앙M&B/276쪽/ 1만 5000원

바다에 폭풍우가 몰아친다. 베트남을 떠난 난민선은 미국을 향하고 있다. 뒤집히기 직전이다. 선장은 살고 싶으면 가진 짐을 모두 바다에 던지라고 설득한다. 그러나 난민들이 가진 것은 목숨과도 같은 금괴뿐이다. 절체절명의 순간에도 이들은 “체중이 무거운 사람이 더 많이 버려야 하는 게 아니냐”며 옥신각신 다툰다. 금괴 없는 이국에서의 생존은 더욱 지난하겠지만, 그조차 죽고 나면 끝이라는 것이 이들에게는 와닿지 않는다. 퍼뜩 정신을 차리는 것은 앞서 가던 배가 난파하는 것을 목격한 뒤다.

‘부의 본심’은 제목 그대로 부(富)에 관한 책이다. 저자가 전하는 난민선의 사례는 죽음 앞에서도 부에 대한 집착을 놓지 못하는 현대인의 일면을 보여준다. 책에 나오는 중국의 속담대로 “사람은 재물 때문에 죽고 새는 먹이 때문에 죽는” 시대다.

저자의 주장은 ‘부는 물과 같다’는 명제에서 출발한다. “부는 흐르고, 증발하고, 얼어붙고,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부드러움으로 강함을 이기고, 낮은 곳으로 흐르고, 더러운 것을 받아들인다.” 투자자가 은행에서 빌린 돈은 부동산과 공장으로 흐르고, 노동자는 공장에서 임금을 받아 시장에 소비한다. 부를 쌓는 데 탈세와 횡령 같은 더러운 수단이 동원되기도 한다.

흥미로운 것은 1978년 ‘상흔’이라는 단편소설을 발표하며 중국에 큰 반향을 일으킨 저자 루신화의 이력이다. 푸단대 1학년에 재학 중이던 그는 문화대혁명 당시 반동으로 몰린 어머니와 그 딸의 이야기를 통해 문화대혁명이 중국에 남긴 상처를 고스란히 드러냈다. 졸업 후 문단을 떠난 저자는 사업이 실패하자 미국 유학길에 오른다. 인력거를 끌며 학비를 벌었고, 로스앤젤레스 카지노에서 딜러로 일하며 눈앞에서 엄청난 거액이 오가는 광경을 지켜본다. 역사의 상처는 자본주의의 상처로 환치된다. 저자는 “어느 시대나 각 시대의 ‘상흔’이 있다”는 결론에 다다른다.

그러나 저자가 부를 대하는 태도는 다소 추상적이고 순진하다. 하늘의 도에 따라 부는 부자에서 빈자에게 흐르게 된다거나(1부 6장) 개인과 민족의 부는 우주의 운명으로 정해져 있다(2부 5장)는 주장에 이르면 뜨악해진다. 무엇보다 “하늘의 도에 순응하며 사람의 욕심을 조절하라”는 결론은 지나치게 원론적이다. 세상에 그걸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2013-08-03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