째깍째깍…시계가 돌자 유럽은 근대로 갔다

째깍째깍…시계가 돌자 유럽은 근대로 갔다

입력 2013-08-03 00:00
업데이트 2013-08-03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계와 문명] 카를로 M. 치폴라 지음/최파일 옮김/ 미지북스/244쪽/1만 3000원

미국의 문명 비평가 루이스 멈퍼드는 “증기기관이 아니라 시계가 근대산업의 핵심 기계”라고 단언했다.

13세기 후반 유럽에 최초의 기계식 시계가 등장했다. 그 이전에도 해시계나 물시계와 같이 시간을 측정하는 기구가 있었지만 동력 시계가 만들어진 것은 유럽이 처음이었다.

그러면 왜 아시아가 아닌 유럽이었을까. 전문가들은 그 까닭을 흑사병이라는 거대 재앙으로 인한 노동력 급감으로 유럽 문명이 더욱 기계지향적으로 변해갔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인간의 힘을 기계의 힘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경제적인 토양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대포와 범선, 제국’의 탄생을 통해 세계를 지배한 것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 책은 이와 연관된 인간의 현실을 깊이 있게 탐구한다. 1338년 여름 갤리선 한 척이 베네치아를 떠나 동방으로 향했으며, 이 배에 실린 여러 물건들 중 기계식 시계가 하나 실려 있었다는 사실, 그리고 유럽이 기계를 아시아로 수출하기 시작했다는 내용 등 그동안 아무도 집중하지 않았던 운명적인 사건 등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

또한 기술사를 들여다보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경제와 사회의 역사에 대한 탐구이며 사람들과 그들의 성향, 사회적 가치체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계 시계의 탄생이 과학 혁명과 산업혁명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면서 언뜻 무관해 보이는 시계와 대포가 역사적으로는 커다란 연관이 있었으며, 놀랍게도 유럽 최초로 시계를 제작했던 사람들이 다름 아닌 대포 장인이었다는 등의 흥미로운 사실들을 펼쳐 보인다.

기계식 시계의 발전사도 언급하고 있다. 초창기 거대한 공공 시계였던 기계식 시계는 15세기 태엽이 동력으로 등장해 크기가 작아지면서 가내용 시계와 회중 시계로 발전했고, 16세기에 들어서면 유럽 신흥 부유층의 사치품으로 인기를 누린다는 사실 등이다.

이때부터 시계 장인은 대포 장인보다 보석 세공인에 가깝게 개념이 바뀌었으며 시장이 확대되면서 시계 제조업 중심지가 생겨났다고 설명한다.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3-08-03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