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이 짐이 된 당신, 작지만 다 갖춘 집 어때요

집이 짐이 된 당신, 작지만 다 갖춘 집 어때요

입력 2013-08-03 00:00
업데이트 2013-08-03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은 집을 권하다] 다카무라 도모야 지음/오근영 옮김/ 책읽는수요일/180쪽/1만 2000원

“너무 큰 집은 집이라기보다 채무자의 감옥이다.” ‘스몰 하우스 운동’의 주창자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히는 미국의 건축가 제이 셰퍼의 말이다.

그의 표현처럼 평범한 사람들의 생활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는 것 중 하나는 집세나 주택과 관련한 각종 대출금에 대한 부담이다. 매달 꼬박꼬박 나가는 고정비용도 무시할 수 없다. 공간에 맞는 물건을 사들이고, 관리도 해야 한다. 주말에 쉬지 못하고 집안 청소와 손질에 나서야 하는 것도 만성피로를 부추긴다. 이게 집인가 짐인가. 집에 관한 통념을 바꾸고 각자의 방식에 적합한 생활 영역을 확보한다면 훨씬 나은 삶을 모색할 수 있지 않을까. 에너지 사용량이나 쓰레기 배출량 등도 대폭 줄일 수 있으니 환경 파괴 또한 크게 줄어들 터다. 책은 바로 이런 고민에서 출발한다.

책은 제이 셰퍼 등 저마다 다른 사연과 목적으로 스몰 하우스에서 살고 있는 6명의 삶을 소개하고 있다. 일본 도쿄 근교에 3평 남짓한 스몰 하우스를 짓고 사는 저자가 다른 이들의 집을 엿보는 형식이다.

집의 형태는 거개가 엇비슷하다. 사각형 몸통에 삼각형 지붕을 얹었다. 몸통엔 거실과 화장실, 부엌 등이 조밀하게 배치되고, ‘로프트’라고 불리는 삼각형 다락방은 침실로 꾸몄다. 위 아래는 접이식 사다리로 연결한다. 지붕 위엔 태양열 집열판을 설치한다. 세밀한 부분에서는 조금씩 다르지만 큰 틀에서는 차이가 없다. 면적은 대체로 13㎡ 안팎이다. 말이 13㎡지, 복층구조의 로프트를 제외하면 실제 대지 면적은 7㎡ 남짓에 불과하다. 일본 주차장의 차 한 대 평균 면적(12.5㎡)의 절반 정도 크기다.

규모를 줄였을 뿐 집은 집이다. 내 몸과 영혼이 쉬는 곳이다. 작게 만든다고 무작정 결핍을 강조하지는 않는다. 그건 남루한 집이지 절제된 집은 아니다. 중요한 건 ‘탈소유’다. 자기 소유물 가운데 필요하지 않은 것을 배제하고, 나 스스로가 그 어떤 물건보다 우위의 입장에 있다는 걸 깨닫자는 거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3-08-03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