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조상들의 그림, 제대로 보는 법

우리 조상들의 그림, 제대로 보는 법

입력 2013-08-24 00:00
업데이트 2013-08-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옛 그림을 보는 법] 허균 지음/돌베개 펴냄 352쪽/1만 8000원

1405년 태종이 경복궁의 이궁으로 창건한 창덕궁은 조선시대 가장 오랜 기간 정궁(正宮)으로 사용됐다. 임진왜란 때 경복궁이 불타 버렸기 때문이다. 창덕궁은 경복궁과 달리 인위적 구조를 따르지 않고 자연지형과 토착적 풍수지리에 따라 조화를 이룬다.

그런데 경복궁과 창덕궁에는 쏙 빼닮은 공간도 있다. 왕의 집무 공간인 경복궁 근정전과 창덕궁 인정전의 어좌 뒤편에 해와 달, 오악, 소나무, 바다를 그린 ‘일월오악도’가 펼쳐진 것이다. ‘일월오봉도’ ‘오봉도’라고도 불리는 이들은 왕이 하늘의 아들임을 널리 알리고자 한 그림이다.

그림은 다섯 봉우리의 산, 파도치는 물, 흘러내리는 폭포, 짙푸른 적송, 그리고 해와 달로 화폭이 꽉 채워진다. 왼쪽에 흰색 달, 오른쪽에 붉은색 해가 들어서 좌우 대칭을 이루는데 조선시대 우주관, 음양사상, 천명사상, 길상 관념을 모두 아우르는 씨줄과 날줄 같은 상징체계를 품었다고 한다.

해와 달에선 낮과 밤을 뜻하는 서양 천문학과 달리 조상들만의 관념을 엿볼 수 있다. “일월은 밝음의 덩어리라, 빛을 받아들일 만한 곳은 모두 비춰 준다”(맹자)는 말처럼 이를 하나의 통합된 밝음으로 봤다. 또 청명한 하늘인 호천은 태극, 다섯 봉우리 오악은 땅, 폭포가 짙푸른 바닷속으로 떨어지는 모습은 천하가 임금에게 의지함, 소나무는 왕권의 장구함과 공고함을 각각 뜻했다.

이렇게 우리 조상들은 그림에다 알고 있는 것, 생각하는 것, 보고 싶은 것을 담았다. 중국 땅에 한 번도 가본 적 없어도 동정호 주변 소상팔경을 그렸고, 주자가 은거했던 무이구곡을 그렸던 까닭이다. 조선 태종 때는 용의 얼굴과 사슴의 몸, 소의 꼬리, 말발굽을 가진 상서로운 동물 ‘기린’이 출몰했다며 그림에 담아 명나라 황제에게 보내기도 했다.

전통미술 전문가인 저자는 새 책 ‘옛 그림을 보는 법’에서 옛 선조들은 사물 그대로를 표현하는 서양과 달리 외형에 집착하지 않고 일정 거리를 둔 채 주관적 감성으로 그림을 그렸다고 말한다. 선조들의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법도 서양의 그것과 달라야 한다는 설명이다. 저자는 “전통시대의 그림이나 장식미술은 옛 선조들이 자연과 인간을 어떤 눈으로 바라봤고, 무엇을 생각하며 살았으며, 어떤 것을 아름답다고 느꼈는지 보여 주는 거울과 같은 존재”라고 강조한다.

책은 선조들의 정신세계와 미의식을 바라보기 위해 그림의 주제와 소재를 산수화, 사군자, 시의도, 고사인물화, 길상도, 상상의 동물 등 13가지로 분류해 150여점의 그림에 담긴 뜻을 읽어 내는 방법을 귀띔해 준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08-24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