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세기 현자가 전하는 인생의 지혜

11세기 현자가 전하는 인생의 지혜

입력 2013-09-07 00:00
업데이트 2013-09-07 0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크라 문서/파울루 코엘류 지음/공보경 옮김/문학동네/196쪽/1만 1500원

11세기 말 예루살렘. 기독교인, 유대인, 이슬람교인들이 평화롭게 공존하던 이 땅에 십자군이 전쟁을 선포한다. 적군이 들이닥치기 직전 불안과 공포에 잠식된 군중 앞에 콥트인(이집트의 그리스도교인) 현자가 등장한다.

현자는 말한다. 적들이 도시를 파괴할 수 있겠지만, 도시가 우리에게 가르쳐 준 지식은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고. 두려움을 잊고 우리가 직면한 삶과 그 어려움에 대해 후세에게 이야기를 남겨 주자고. 도시의 영혼을 보전하고 복원할 수 있는 힘을 북돋워 주자는 제안이었다. 한 젊은 여인이 나서 “우아함에 대해 가르쳐 달라”고 청한다. 군중은 곧 도시가 피로 물들 마당인데 어리석은 질문이라며 비웃는다. 하지만 현자는 여인의 담대한 질문에 미소 지으며 말한다.

‘오만한 이는 주변 사람들에게 굴욕감을 주지만, 우아한 이는 빛 속을 걸어다닌다. 스스로 선택한 길을 걸을 때 우리는 우아하게 빛을 뿜으며 걸어간다. 우아함이 우리를 보호할 것이기에, 고난의 시기에도 적들은 우리에게서 약함의 흔적을 볼 수 없을 것이다.’(123~124쪽) 이렇게 소설은 군중이 질문을 던지고 현자가 답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브라질 작가 파울루 코엘류의 신작 소설 ‘아크라 문서’의 얼개다.

전쟁의 공포를 누르고 사람들은 삶의 수수께끼에 대한 지혜를 구한다. 패배와 패배자란 무엇인지, 사랑은 왜 늘 내 곁을 지나가는지, 왜 어떤 사람들은 남들보다 운이 좋은지, 우리는 왜 불안과 동거할 수밖에 없는지 등이다. 2011년 의사로부터 얼마 살지 못할 것이라는 진단을 받은 코엘류는 이 책을 통해 평생 동안 탐구해 온 인생에 대한 성찰을 펼쳐 놓았다.

아크라 문서는 실제로 11세기 말 십자군 전쟁 직전 콥트인 현자와 예루살렘 시민들 간의 대화를 기록한 것으로, 1974년 영국 고고학자 월터 윌킨슨이 이집트에서 발견했다.

소설이라는 형식을 빌렸지만 곡진한 서사를 기대하면 낭패를 보기 쉽다. 잠언집이라고 하는 게 더 적합한 표현이겠다. 다른 철학서에서 본 듯한 기시감도 비치지만 ‘코엘류표 지혜’를 갈구해 온 독자들에겐 삶의 가치를 차분히 굽어볼 기회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3-09-07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