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심의 시대? 선의와 협력은 유효해!

이기심의 시대? 선의와 협력은 유효해!

입력 2013-10-19 00:00
업데이트 2013-10-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펭귄과 리바이어던/요차이 벤클러 지음/이현주 옮김/반비/245쪽/1만 6500원

‘리바이어던’은 구약성서에 나오는 상상의 바다괴물이다. 누구도 대적할 수 없는 막강한 힘을 지녀 ‘교만한 자들의 왕’으로 묘사된 이 피조물을 토마스 홉스는 국가에 비유했다. 홉스가 대표작 ‘리바이어던’에서 절대권력과 통치권 확립을 강조한 건 이기심을 인간의 본성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그는 이기심과 탐욕으로 인한 무질서를 평정하는 유일한 방법은 국가의 개입과 통제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에서 설파한 ‘보이지 않는 손’도 인간은 근본적으로 이기적이라는 생각을 전제로 한 이론이다.

홉스가 이기심을 제어하는 방편으로 감독과 처벌을 내세운 것과 달리, 스미스는 개인의 이기심이 결국 공동선에 도움이 되도록 작동한다면서 자유방임을 주장한 점이 다를 뿐이다.

하버드대 교수인 저자는 근대 서양의 역사를 지배해온 ‘리바이어던’ 성향의 관료주의와 ‘보이지 않는 손’을 기초로 한 시장주의의 틀을 깨는 제3의 대안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그가 주목한 것은 21세기 정보화시대에 새롭게 등장한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피디아’, 무료 소프트웨어 ‘리눅스’ 같은 오픈소스 경제다. 저자는 이타심과 선의에 기반한 이러한 협력 시스템을 리눅스의 마스코트인 펭귄 턱스에서 착안해 ‘펭귄’이라고 이름 붙였다.

온라인에서의 대규모 협업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로 명성을 쌓아온 저자는 이 책에서 그동안 심리학, 뇌과학, 진화학, 경제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뤄져온 이타심과 선의, 협력에 관한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망라해 보여준다. ‘죄수의 딜레마’ 같은 실험경제학 게임이론들과 사람들이 협력할 때 유발되는 보상회로가 존재함을 증명한 신경과학의 연구 성과, 그리고 공감과 연대감이 얼마나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는지에 관한 심리학적 근거를 소개한다. 저자는 이와 함께 도요타, 사우스웨스트항공사, 오바마 선거운동같이 산업 조직과 시민사회 등에서 협업이 성공적으로 작동하는 다양한 사례를 보여주면서 미래의 생존전략으로서 협력의 시스템을 적극 제안한다.

이순녀 기자 coral@seoul.co.kr

2013-10-19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