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를 만나는 순간부터 죽음이다

산소를 만나는 순간부터 죽음이다

입력 2013-11-02 00:00
업데이트 2013-11-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기율표 속 원소들 사연 되짚어 성질 아닌 문화적 주제 따라 설명

원소의 세계사/휴 앨더시 윌리엄스 지음/김정혜 옮김/알에이치코리아/544쪽/2만원







‘원소기호 O, 원자번호 8’ 고등학교 화학시간에 지겹도록 외웠던 ‘원소 주기율표’ 속 산소의 실체다. 현실 세계에서 산소는 생명이자 활기다. 한 광고문구에서 보듯 ‘산소 같은 여자’는 건강하고 상큼한 여성의 대명사이고, 너른 숲에서 다량의 공기를 내뿜는 강원도는 한국의 ‘산소통’이다. 우리만 그런 건 아니다. 이웃 일본과 중국에선 돈을 내고 산소를 사는 ‘산소 바’(oxygen bar)도 성업 중이다.



이미지 확대
① 별 모양의 안티모니(Sb). 주로 화장품 원료로 쓰인다. ② 슈퍼모델 케이트 모스를 실물 크기로 재현한 순금(Au) 조각상 ‘사이렌’. 약 27억원의 제작비가 소요됐다. ③ 인(P)추출 장면.  알에이치코리아 제공
① 별 모양의 안티모니(Sb). 주로 화장품 원료로 쓰인다. ② 슈퍼모델 케이트 모스를 실물 크기로 재현한 순금(Au) 조각상 ‘사이렌’. 약 27억원의 제작비가 소요됐다. ③ 인(P)추출 장면.

알에이치코리아 제공






한데 우리가 알고 있는 산소와 실제 산소는 많이 다르다. 예컨대 산소는 반응성이 크다. 거의 모든 원소와 반응해 산화물을 만든다. 산화는 혼란과 쇠퇴의 다른 이름이다. 산소와 접한 원소는 곧 혹은 서서히 파괴된다.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이 잠 잘때마다 사용했던 산소텐트가 되레 수명을 가속시키고 죽음을 앞당겼을 거라는 주장은 그 같은 사실을 뒷받침한다. 먼저 생명을 주고 곧이어 죽음에 바짝 다가서게 만드는 이중적인 원소. 그 탓에 산소는 ‘간교한 요부’라 불리기도 한다.

이처럼 주기율표에 갇힌 원소들은 저마다 독특한 사연과 이력을 갖고 있다. ‘원소의 세계사’가 주목하는 것도 바로 이 지점이다. 원소들의 어제와 오늘을 하나하나 추적한 뒤 우리가 엿보지 못했던 새로운 세계사 혹은 문화사를 끄집어낸다. 저자는 이를 위해 기존의 서술 방식을 버렸다. 원소들을 주기율표대로 열거하거나 각각의 성질과 용도를 설명하지 않는다. 저자가 밝혔듯 책이 “(화학자가 아닌) 인류학자가 작성한 것처럼 보이는 주기율표가 되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대신 저자는 ‘문화적’ 주제에 따라 원소를 분류했다. 힘, 불, 기술, 아름다움, 흙 등 다섯 가지다.

‘힘’에서는 부의 상징이자 통제의 근간으로 활용됐던 원소들을 다룬다. 첫 장은 ‘당연히’ 금(Au, 79)이 연다. 로마시대 작가 플리니우스가 ‘불에 타도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 유일한 금속’이라 상찬했던 물질이다. 이어 금의 윗자리를 노리는 플래티넘(Pt, 78), 은(Ag, 47) 등이 뒤를 잇는다. ‘불’에선 ‘기적의 빛’이라 불리는 인(P, 15) 등 타면서 빛을 내거나 부식 작용이 두드러지는 원소들이 등장한다. ‘기술’에선 쉽게 늘어나거나 잘라지는 등의 특성 덕에 수천년 동안 장인(匠人)들의 재료로 이용됐던 원소들이 나온다. ‘아름다움’에선 원소가 세상을 어떻게 채색하는지, ‘흙’에선 수많은 원소가 왜 특정한 장소에서 발견되는지 살핀다.

책엔 흥미로운 내용들이 가득하다. 플루토늄의 원소기호인 Pu는 소변을 뜻하는 ‘peee-euggh’에서 따왔다. 더 극적인 건 이름을 얻게 된 경위다. 플루토늄의 모티브는 명왕성(플루토)이다. 미국의 화학자 글렌 시보그는 1942년 발견 당시 플루토늄을 언젠가 금의 지위를 대체할 탁월한 물질로 여겼다. 하지만 불행히도 플루토늄이 가진 힘은 지나치게 파괴적이었다. 소량으로도 강력한 핵폭탄을 만들 수 있었다. 타고 남은 재(핵 폐기물)조차 몇만년 동안 반감기를 거치며 두고두고 인간의 생명을 노린다. 로마 신화에서 지하세계와 죽음을 관장하는 신 ‘플루토’(그리스 신화의 하데스)처럼 인류에게 ‘죽음의 사신’ 노릇을 하고 있는 셈이다. ‘제 한 몸 불살라 아무것도 남기지 않는다’는 탄소(C, 6), 화가들의 붓을 통해 화단에 일대 혁명을 일으킨 카드뮴(Cd, 48) 등의 이야기도 흥미롭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3-11-02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