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시인 15명 ‘몬순’으로 뭉쳤다

한·중·일 시인 15명 ‘몬순’으로 뭉쳤다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7-06 23:54
업데이트 2015-07-07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제동인 결성… 첫 시문집 출간

동아시아 최초로 시인 국제동인 시문집(앤솔러지) ‘몬순’(MONSOON·문예중앙)이 나왔다. 한국·중국·일본 시인 15명이 국제동인 ‘몬순’을 결성하고 낸 첫 번째 창간호다. 한국은 고형렬·김기택·나희덕·심보선·진은영 시인, 중국은 린망·양커·진샤오징·쑤리밍·선웨이 시인, 일본은 시바타 산키치·스즈키 히사오·나무라 요시아키·사소 겐이치·나카무라 준 시인이 참여했다. 시인들의 신작시와 산문을 담아 서울·베이징·도쿄에서 각 나라 언어로 번역돼 동시 출간됐다.

이미지 확대
‘몬순’은 고형렬 시인 주도로 결성됐다. 2000년 잡지 ‘시평’을 창간해 2013년까지 300여명의 아시아 시인을 국내에 소개한 그는 그동안 쌓은 추억과 인맥을 동원해 각국 작가를 모았다.

고 시인은 “한·중·일 3국은 지정학적 동시성을 갖고 함께 독자적 언어와 역사를 창조해 왔다. 동북아 역사가 오래 각축하고 갈등해 왔지만 언어를 다루는 시인들이 모여 새 비전을 내다보고, 민족주의적인 자국 문학 안에 있기보단 다른 나라 입장에서 서로를 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 싶었다”고 밝혔다.

중국 시인 린망은 “세 나라에서 동시 출판된 동인지가 시공을 초월한 힘을 갖고 다른 나라 시인들의 영혼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인류 공통의 감정을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평했다. 일본 시인 스즈키 하사오는 “시인은 작은 목소리라 할지라도 진실의 언어를 영혼의 내면 깊숙한 곳에서 계속 발신해야 한다”며 “그 작은 목소리 15개가 어떤 울림이 돼 아시아의 지평에서 연주될 것인가. 그 시도는 이번 창간호에서 시작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몬순’은 1년에 한 번씩 나온다. 고 시인은 “앞으로 동인 참여 국가를 몽골과 동남아시아, 인도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7-07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