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정권을 달라” 투사가 된 여자들

“참정권을 달라” 투사가 된 여자들

함혜리 기자
입력 2016-03-11 18:06
업데이트 2016-03-11 18: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싸우는 여자가 이긴다/에멀린 팽크허스트 지음/김진아·권승혁 옮김/현실문화/480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20세기 초 영국 여성들은 보수당이든 진보당이든 정당에 가입해 일을 할 수는 있지만 정작 투표는 할 수 없는 기이한 신분이었다. 여성 참정권 운동가들은 남성 정치인들이 여성참정권법안을 발의해 줄 것이라는 희망으로 그들을 설득하는 데 힘을 쏟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평화롭고 소극적인 방식으로는 여성의 참정권 획득이 요원한 상황에서 ‘서프러젯’으로 불리는 전투적인 여성참정권 운동을 이끌어 센세이션을 일으킨 여성이 있었다. 에멀린 팽크허스트(1858~1928)다.

‘싸우는 여자가 이긴다’는 팽크허스트의 투쟁 기록이다. 그녀는 “인간이라는 가족의 절반인 여성이 이 세상에서 자유를 얻을 수 없다면 진정한 평화는 존재할 수 없다”는 신념으로 1903년 ‘여성사회정치연합’(WSPU)을 창설해 영국 여성들을 결집시켰다. 창설 후 4년 동안 집회와 선전 활동을 벌이고 공청회에 참석해 의회를 압박하고 위선적인 의원들의 낙선운동을 펼쳤다. 남성 정치인들에게서 아무런 응답이 없자 팽크허스트가 이끄는 여성사회정치연합은 1908년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총리의 자유당 내각이 들어선 후 전략을 바꿔 전투적 전술을 채택한다. 총리 관저를 포함해 공공기관과 상점 창문이 깨지고, 편지가 가득한 우체통이 불에 타곤 했다.

팽크허스트는 “역사를 돌이켜 볼 때 인간의 정치적 진보는 언제나 폭력과 재산 파괴 행위와 더불어서만 가능했기 때문에 이런 선택이 불가피했다”고 설명한다. 여성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무기는커녕 반격을 막아낼 보호 장구도 갖추지 못했다. 맨손으로 정부와 진압 경찰에 맞섰고 교도소에 수감돼 단식투쟁으로 목소리를 냈다. 심지어 항의하다 말에 밟혀 사망한 여성도 있었다. 전투파 여성참정권 운동가들의 집회, 방화, 투석, 단식농성은 사회적으로 큰 센세이션을 일으켰지만 차츰 사람들을 설득시켜 나갔다. 1918년 30세 이상 여성이 투표할 수 있게 됐고, 팽크허스트 사망 직후인 1928년 영국 정부는 투표권을 21세 이상 모든 여성으로 확대했다.

그녀는 1913년 미국인 저널리스트 레타 차일드 도어에게 여성사회정치연합을 만들게 된 배경과 참정권 운동이 전투적인 방향을 택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상세하게 구술했다. 이는 미국 잡지 ‘굿하우스키핑’에 연재됐고 1914년 영국의 이블리내시 출판사가 ‘나의 이야기’라는 제목을 달아 책으로 냈다. 초판 출간 후 100여년 만에 국내에 번역된 셈이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6-03-12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