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책] 서울대 교수들의 ‘낮은 인문학’…제소자를 위한 감동의 강연

[이주의 책] 서울대 교수들의 ‘낮은 인문학’…제소자를 위한 감동의 강연

입력 2016-05-17 14:39
업데이트 2016-05-17 14: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난 누구고, 인간의 본질은 무엇일까.”

하루하루 정신없이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에게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일은 사치처럼 느껴진다.

인간의 탐구에서 시작되는 인문학은 최근 정보통신기술(ICT)로 가득찬 세상에서 찬밥 신세다. 인문학을 전공한 대졸자들은 이공계 졸업자들에 비해 직장을 구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삶을 주체적으로 살기 위해서는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새로운 삶을 기획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그 첫걸음이다.

17일 출판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낮은 인문학’(21세기북스)이 출간돼 많은 독자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다.

21세기북스에서 출간한 ‘낮은 인문학’
21세기북스에서 출간한 ‘낮은 인문학’
이 책은 서울대와 법무부가 기획해 지난해 서울 구로구에 있는 교도소에서 서울대 교수 8명이 제소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문학 강연을 책으로 엮었다.

철학, 종교, 역사, 문학 등 각 분야의 대표 교수들이 각각 다른 내용을 강의했지만 주제는 ‘인간의 삶’으로 일맥상통한다.

배철현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의 강연으로 시작되는 이 책은 고대 이집트인이 생각한 삶에 대한 가치관과 종교의 핵심을 통해 다른 사람과 공감할 수 있는 자비가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인도 철학에서 말하는 행복과 생각의 관계, 고대 그리스 문학인 ‘일리아스’를 통해 본 삶의 우선 순위, 나치 시절을 기억하려는 독일 사람들의 삶과 노력, 우리가 추구해야 할 가치, 현대인이 불행한 이유 등도 이 책에 담겨있다.

마지막 강연에서는 신화 속에 담긴 삶과 죽음의 관계를 통해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죽음에 대한 우리의 인식 변화를 살펴본다.

출판 업계의 한 관계자는 “낮은 인문학을 통해 과거의 자신을 성찰하고 스스로를 변화시킬 용기를 얻었다”면서 “인간의 삶이라는 주제와 연속성으로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책”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