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비평으로 접근한 조선영화史

영화 비평으로 접근한 조선영화史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6-06-24 17:44
업데이트 2016-06-25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영화란 하(何)오/백문임 외 3명 지음/창비/780쪽/4만원

이미지 확대
한국에서 영화의 역사가 시작된 건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로 추정된다. 하지만 당시의 영화계 풍경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다. 당시 제작된 ‘활동 사진’(영화)이나 관련 자료들이 거의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나마 ‘대한매일신보’ 등의 신문과 몇몇 잡지에 게재된 영화비평을 통해 당시 상황을 어렴풋이 짐작할 뿐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영화비평을 분석틀 삼아 조선영화사(史)를 발굴해내는 것도 분명 나름의 의미가 있는 작업일 터다.

새책 ‘조선영화란 하(何)오’는 바로 이 같은 접근방식에 천착한 책이다. 1910년대부터 해방 이전까지 쓰여진 조선영화 비평문을 선별해 당시 영화계 만화경을 그려내고 있다. 그 덕에 해설서이면서도 자료집의 역할까지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

예컨대 고한승은 ‘신(新)영화 <아리랑>을 보고’(1926년, 대한매일신보)란 비평을 통해 “조선키네마의 초특작이요, 소위 1만 5천원의 촬영비를 들여 제작했다는 조선영화 ‘아리랑’이 촬영기술이라든지 감독술에서 독창적 성공은 없어도 대체로 흠잡을 곳이 없는 가작(佳作)”이라면서도 “한 장면씩 떼어놓고 보면 좋으나 한 개의 영화로 볼 때 연락(聯絡)이 못 된 곳이 결함”이라며 꼬집는다. 훗날 나운규는 조선영화 제1호(1936년 11월)에 “조선영화는 난관을 맞았다. 시대는 변했고 관객도 달라졌다. 영화가 문화사업의 하나라면 민중을 끌고나가야 된다. 백 리 앞에서 기를 흔들면 보이지 않으니 언제나 우리는 민중보다 1보만 앞서 기를 흔들어야 한다”는 견해를 밝힌다. 당시 영화인들의 고민이나 현 영화인들의 고민이 큰 차이가 없는 듯하다.

책엔 모두 55편의 글이 실렸다. 편저자 4명이 조선영화사의 윤곽을 그리는 데 핵심적이라고 판단한 비평문들이다. 비평을 쓴 이들의 면면도 화려하다. 소설가 심훈, 시인이자 비평가인 임화, 소설 ‘태평천하’의 작가 채만식, ‘문장강화’의 저자이자 소설가 이태준 등 저마다 당대에 필력을 자랑했던 지식인들이다.

책은 각 영화비평문들을 초기영화, 변사, 사회주의 영화운동, 토키(발성영화), 기업화론, 전쟁과 국책(國策) 문제 등 14개 주제로 나눠 구성했다. 주제마다 편저자의 해제와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목록을 실었고, 당시 조선영화의 생산과 수용 현장을 살필 수 있는 신문, 잡지 기사를 스크랩으로 덧붙였다. 영화 장면과 제작, 상영 현장, 영화인들을 담은 150점 정도의 사진도 첨부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6-06-25 18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