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광 히틀러, 그의 ‘反유대주의’ 키운 책은

독서광 히틀러, 그의 ‘反유대주의’ 키운 책은

입력 2016-07-15 17:28
업데이트 2016-07-16 0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히틀러의 비밀 서재/티머시 W 라이백 지음/박우정 옮김/글항아리/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아돌프 히틀러는 책을 태운 만행으로 악명이 높다. 직접 참여한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입’이었던 괴벨스를 통해 광범위한 지역에서 분서를 자행하도록 사주했다. 한데 역설적이게도 히틀러는 대단한 독서광이자 장서가였다. 양 극단을 오간 셈인데, 극도로 불안정했던 그의 인생역정 또한 이와 맥락이 같다. 새 책 ‘히틀러의 비밀 서재’가 주목한 것도 바로 이 지점이다.

저자는 홀로코스트의 연원이 히틀러가 읽고 소장한 문헌들에 있다고 봤다. 히틀러가 56세에 스스로 생을 마감했을 때 남긴 책이 1만 6000권에 달했다고 한다. 히틀러의 인생에서 책이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까 짐작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저자는 히틀러의 장서 중 그가 열독한 것으로 추정되는 10권을 추려내, 이들 책이 히틀러의 사고와 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다. 예컨대 막스 오스보른의 ‘베를린’은 히틀러가 군인 신분이던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탐독한 책이다. 당시 예술에 대한 열망이 컸던 히틀러에게 베를린 문화재를 다룬 이 책은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히틀러가 정치가로 이름을 얻어가던 시기에 읽은 책은 ‘페르 귄트’다. 이 책을 권한 이는 히틀러의 후원자이자 멘토였던 에카르트였다. 에카르트는 술과 여자, 모르핀을 몹시 좋아하는 사람이었다. 유대인도 혐오했다. 히틀러의 반유대주의에 관심을 기울이고 사상을 정립시켰으며 불을 지른 사람이었다.

메디슨 그랜트의 ‘위대한 인종의 쇠망: 유럽 역사의 인종적 기초’는 히틀러의 반유대주의에 기름을 부은 책이다. (북유럽의) ‘우수한 인종’이 ‘열등한 인종’에 흡수돼 혈통이 희석되고 있다며 순수 인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파울 라가르데의 ‘독일의 에세이’ 역시 히틀러가 탐독한 책이다. 유대인에 대한 혐오를 드러낸 구절이 나오면 밑줄까지 그어 가며 읽었다. 그의 대표작이자 베스트셀러인 ‘나의 투쟁’도 빼놓을 수 없다. 철자나 문법, 논리 등이 엉망진창이지만 ‘유대인은 저급한 인간’이라는 논조만은 일관되게 이어진다.

히틀러의 첫 번째 책은 스물여섯 살 때 서부전선에서 상병으로 복무하며 구입한 베를린 안내서다. 마지막 책은 그로부터 30년 뒤인 1945년 봄, 삶을 얼마 남겨 놓지 않았을 즈음 읽었던 프리드리히 대왕 전기다. 이처럼 독서에 대한 히틀러의 스펙트럼은 넓었다. 하지만 선택적 독서가 문제였다. 스스로의 기대에 부응하는 결론만 뽑아 취했던 게 불행한 역사의 단초였던 셈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6-07-16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