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구할 중앙亞 기독교 왕국의 실체는

유럽 구할 중앙亞 기독교 왕국의 실체는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16-07-15 17:40
업데이트 2016-07-15 17: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상의 왕국을 찾아서/레프 구밀료프 지음/권기돈 옮김/새물결/584쪽/3만 2000원

이미지 확대
‘프레스터 요한(Prester John)의 왕국’은 중세 유럽에서 회자된 전설의 왕국이다. 당시 이슬람 세력에 맞선 유럽에는 중동 너머 동방(현 중앙아시아)에 사제 요한이 다스리는 기독교 왕국이 있고, 이 왕국이 페르시아 왕을 물리치고 성지 예루살렘을 탈환하려 한다는 소문이 끊이지 않았다. 십자군 원정이 별무소용이었던 탓에 이교도 무리의 등 뒤에 있다는 기독교 왕국 이야기는 당시 유럽인들에게 큰 위안거리였다. 유럽을 구원할 것이라는 기독교 왕국에 대한 상세한 보고가 끊이지 않았고, 역사서에도 등장하기까지 한다. 수많은 유럽인이 요한의 왕국을 찾으려 시도했지만 실패로 돌아간다.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었다. 마침 이슬람 군대를 거꾸러트린 것도 칭기즈칸이 이끄는 야만족-유럽인 입장에서- 몽골이었다. 프레스터 요한 왕국은 상상의 왕국이었던 것이다.

러시아의 지리학자이자 역사학자인 저자는 중세 유럽인들의 상상의 산물인 기독교 왕국을 모티브 삼아 그 이면에 존재했던 현실을 재구성한다. 9~13세기 유럽과 아시아의 전 지역, 그리고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훈족, 몽골족, 투르크족 등 3대 유목 민족을 중심으로 조명하는 것이다. 당시 사료가 많지 않아 생기는 빈틈은 기후학, 인구학 등 다양한 학문을 동원해 메우려고 애쓴다. 저자는 그러면서 중앙아시아도 유럽처럼 강렬하고 독창적인 사회와 문화가 만들어졌다고 분석한다. 수수께끼가 많은 러시아 민족의 건국 신화 ‘이고르 원정기’도 몽골을 키워드로 적용해야 그 내용이 보다 완벽해질 수 있다는 게 저자의 이야기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6-07-16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