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문학상 대상 작가들이 말하는 “내게 글을 쓴다는 건…”

이상문학상 대상 작가들이 말하는 “내게 글을 쓴다는 건…”

이슬기 기자
입력 2019-03-20 17:32
업데이트 2019-03-21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상 당시 에세이 재집필해 엮어… 김연수·윤이형 등 작가 22명 동참

이미지 확대
‘작가는 여간해서 자기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다. 작가는 오로지 작품으로만 말한다. 작품만이 작가의 존재를 드러내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중략) 이 책은 아무도 묻지 않았고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았지만, 누구에게라도 말하고 싶은 작가들의 이야기라고 해도 좋다.’(권영민 문학평론가)

새해 벽두를 여는 이상문학상 수상작은 늘 관심의 대상이다. 작가는 작품으로만 말한다지만, 왜 그런 작품이 나왔는지 독자들은 궁금하다.
이미지 확대
공지영 작가
공지영 작가
이미지 확대
윤이형 작가
윤이형 작가
최근 발간된 ‘이상문학상 대상 작가의 자전적 에세이’(문학사상)는 공지영, 김애란, 윤대녕, 윤이형 등 이상문학상 대상을 받은 작가들의 ‘문학적 자서전’을 모았다. 역대 대상 수상 작가들이 수상 당시 집필한 ‘문학적 자서전’을 시대의 흐름에 맞게 재집필해 한 권으로 엮었다. 1993년 제17회 대상 수상 작가 최수철부터 2019년 제43회 대상 수상 작가 윤이형까지, 개인 사정으로 싣지 못한 작가들을 제외한 총 22명의 대상 수상자들의 글이 실렸다.

중편 ‘그들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고양이’로 올해 대상을 수상한 윤이형 작가는 이렇게 적었다.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정치적인 것이라는 말을 나는 믿는 편이고 아직은 쓰고 싶다는 욕망이 있다. 그렇게 다시 시작해 본다.’ 지난 1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기르던 고양이가 죽은 뒤로 그것에 대해서 말하지 못한 채 지나가는 게 너무 힘이 들어 글을 써 보고 싶었다”던 윤 작가다.

2009년에 수상한 김연수 작가는 글 앞에서의 오롯한 고독을 고백했다. ‘이 세상 그 누구도 대신 써 주지 않는 15매, 온전히 내가 써야만 하는 15매. 그렇게 나는 글을 쓴다는 건 고독을 대면하는 일이라는 걸, 평생 글을 쓰겠다는 것은 평생 고독을 대면해야만 하는 일이라는 걸 알게 됐다. (중략) 그리고 얼마간 시간이 흐른 뒤, 놀랍게도 나는 그 고독이 따뜻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111쪽)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03-21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