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뷔 26년 만에 나온 첫 시집에 담긴 사연

데뷔 26년 만에 나온 첫 시집에 담긴 사연

이슬기 기자
입력 2020-10-17 10:00
업데이트 2020-10-17 1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호균 ‘물 밖에서 물을 가지고 놀았다’

이미지 확대
물 밖에서 물을 가지고 놀았다
물 밖에서 물을 가지고 놀았다 걷는사람 제공
데뷔 26년 만에 나온 첫 시집이다. 그간 시인은 꾸준히 문학판에 얼굴을 내밀면서도 시집 만은 출간하지 않았다. 그래서일까. 책 제목이 의미심장하다. ‘물 밖에서 물을 가지고 놀았다’(걷는사람).

김호균 시인은 1994년 세계일보 신춘문예에 시, 광주매일 신춘문예에 동화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발문을 쓴 김형중 문학평론가에 따르면 시인은 1985년 제1회 오월문학상을 수상했고, 이후 광주청년문학회의 창립 멤버, 광주전남작가회의 사무국장 등으로 활약했으나 긴 세월 시집을 내지 않았다.

시집에는 오랜 세월 벼려온 세상에 관한 그의 통찰이 돋보인다. 염소, 짱뚱어, 놋세숫대야처럼 향토적 색채가 짙은 시어들이 반갑다. 시 ‘소금쟁이’는 문학판에 있었으되 시작은 미뤄뒀던, 본인을 은유한 듯도 하다. ‘소금쟁이는 발목만 담근 듯 만 듯/그러니까, 세상과는 아주 떨어지지 않으면서도/세상을 사뿐사뿐 가지고 노는/힘,’(‘소금쟁이’ 부분) 밀물과 썰물 속에서 뻘밭이기도, 바다이기도 한 영역을 삶의 터전으로 삼는 짱뚱어에 관한 시도 비슷한 맥락으로 다가온다.

시인의 시는 어렵지 않다. 삶의 구체적인 순간을 다루고 있어서다. 가령 시 ‘사랑’은 평생 술독에 빠져 지내던 아버지 김희종 씨와 이런 아버지를 애 타는 심정으로 바라봤던 어머니 심영민 씨의 이야기다. ‘응급실 복도의 국화를 보면서 김희종 씨의 오래된 친구인 심영민 씨의 가슴을 저리게 하는 말,/김희종 씨가 “닭발 좋다야, 참말로 좋다야” 하는 말에 이르러선/내가 나를 참지 못한다/내가 나를 울어버린다’. 포장마차를 운영하던 아내의 곁에서 보조로 살던 내력을 그대로 드러내는 한 마디에, ‘나’는 무너져 내린다. 이 순간, 국화가 닭발이고, 닭발은 징글맞은 사랑의 다른 말이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