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 수상 가즈오 이시구로 “日 과거사 묻으면 전진 못해”

노벨문학상 수상 가즈오 이시구로 “日 과거사 묻으면 전진 못해”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1-04-07 17:21
업데이트 2021-04-07 17: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벨문학상 수상자 이시구로 인터뷰
AI로봇 다룬 ‘클라라와 태양’ 출간
“세상에 희망과 선함 존재한다는 믿음”
“AI악용되면 자유민주주의에 위협”경고
“한국, 세계에서 문화의 근원지로 중요”

이미지 확대
가즈오 이시구로 작가 로나 이시구로, 민음사 제공
가즈오 이시구로 작가
로나 이시구로, 민음사 제공
“우린 인간이 동물이나 로봇과 달리 특별한 영혼이 있다고 믿어왔습니다. 하지만 인공 지능(AI)과 유전자 편집 분야의 발전을 지켜보면서 ‘인간의 특별함을 과대평가한 것 아닐까,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특별한 존재일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싶었습니다.”

2017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일본계 영국 작가 가즈오 이시구로(67)가 수상 이후 4년 만에 SF 장편 소설 ‘클라라와 태양’(민음사)으로 돌아왔다.

이시구로는 7일 서면 인터뷰를 통해 “사회가 미래로 나아가는 방식을 다룬 소설은 세상에 희망과 선함이 존재한다는 믿음을 이야기한다”고 설명했다.

소설 배경은 AI 기술과 유전공학이 발전한 미래의 미국이다. 주인공은 아이들의 친구 노릇을 하도록 제작한 로봇 ‘인공 친구’(AF) 클라라다. 이시구로는 감수성이 풍부한 소녀형 AF 클라라와 인간 소녀 조시의 우정을 클라라의 시각으로 풀어낸다. 신체가 불편한 조시를 위해 헌신하는 클라라를 통해 작가는 AF를 물건으로 볼지, 의식과 감정을 지닌 존엄한 생명체로 볼지 묻는다. 그는 “클라라는 세상에 갓 태어난 아기처럼 인간을 바라본다”며 “독자는 기계의 눈을 통해 세상을 보는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시구로는 AI의 발전에 대해 “개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AI는 전체주의 국가에서 감시와 통제의 도구로 악용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자유민주주의에 위협이 될 수 있다”며 “AI가 악용되지 않고 핵심 가치인 개인의 인권을 지킬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소설의 배경을 영국이 아닌 미국으로 설정한 데 대해서는 “미국이 훨씬 젊은 나라, 사회가 불안정하고 늘 변화를 겪는 나라로 느껴졌다”며 “과학과 기술에서 모두 엄청난 혁신이 일어났지만 아직 이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 사회의, 디스토피아적이면서도 스스로 정비할 수 있는 느낌을 원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소설 ‘클라라와 태양’ 민음사 제공
소설 ‘클라라와 태양’
민음사 제공
이시구로는 2017년 노벨문학상 수상 연설 당시 “세계 많은 사람이 느끼는 불안과 좌절을 포착하는 데 실패했다”며 “한 민족이나 공동체가 망각과 기억 사이의 분투를 어떻게 직시하는지 쓰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이에 대해 “일본은 2차 세계대전 전후 식민지에서 자행한 과거사 문제를 묻어버렸는데, 이러면 앞으로 나아가기 어렵다”며 “국가의 기억이 어떻게 작동하는 지는 끊임없이 나를 사로잡는 소재”라고 설명했다.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달라진 것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코로나 방역에 성공적이었던 한국과 달리 영국에선 ‘록 다운’으로 1년간 외출하지 못했다”며 “노벨상 수상은 환상적이었지만, 다른 행성에서 일어난 일 같았고 내 일터로 돌아오자 모든 게 그대로였다”고 답변했다.

또, 지난해 오스카 역사상 최초로 한국 영화 ‘기생충’이 최우수 작품상을 받은 것을 두고 “한국의 대중문화가 훨씬 국제화했다는 신호”라며 “문학의 중요한 역할은 국경을 넘어 이런 문화적 대화를 나누는 일”이라고도 했다. 이시구로는 “K팝과 한국 영화에서 보듯 한국은 지난 10~15년간 세계에서 문화의 근원지로 매우 중요해졌고, 전 세계가 한국을 흥미진진한 예술의 원천지로 여기고 있다”며 “내 책이 한국 ‘문화적 현장’의 일부를 이루게 돼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