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양업 신부 서한 추가 발견… ‘시복’ 될까

최양업 신부 서한 추가 발견… ‘시복’ 될까

입력 2013-08-15 00:00
업데이트 2013-08-1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리외방전교회서 2통 찾아…중국관련 문서철서 첫 발견

교황청에서 시복시성(諡福諡聖) 절차가 진행 중인 최양업(1821~1861) 신부의 친필 서한 2통이 새로 발견됐다.

최근 프랑스 파리외방전교회 고문 서고에서 발견된 최양업 신부 친필 서한.  한국교회사연구소 제공
최근 프랑스 파리외방전교회 고문 서고에서 발견된 최양업 신부 친필 서한.
한국교회사연구소 제공


이에 따라 천주교계는 한국 최초의 천주교 신학생이자 김대건 신부에 이은 두 번째 사제로 평가되는 최양업 신부를 복자 품에 올리는 시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새로 발견된 친필 서한들은 한국교회사연구소 최승룡 신부가 프랑스 파리외방전교회 고문서고 중국 관련 문서철에서 찾아내 한국교회사연구소 발행 ‘교회와 역사’ 8월호에 게재하면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최양업 신부의 친필서한은 기존에 발견된 19통을 포함, 모두 21통이 확인된 셈이다.

서한들은 최양업 신부가 만주대목교구장으로 있던 파리외방전교회 베롤 주교에게 보낸 것들. 하나는 1857년 10월 20일자로 소리웃(전라도 북부 오두재나 용인 손골, 충청도 남부 불무골 인근 추정) 교우촌에서 보낸 것이고 다른 1통은 1859년 10월 13일자로 안곡(충남 부여군 외산면 혹은 미상)에서 보낸 서한이다.

이 가운데 소리웃 서한에서 최양업 신부는 1856년 베르뇌 주교와 푸르티에 신부, 프티니콜라 신부가 입국한 내용과 함께 1857년 다블뤼 신부의 주교 서품식 등을 담고 있다. 안곡 서한에서는 베롤 주교가 보낸 서한에 대한 소감과 함께 당시 조선에 유지되고 있던 박해령 탓에 백성들이 입교를 미루고 있다는 사실을 적었다.

두 서한 모두 조선 말기 국가와 양반들의 폭정에 시달리는 백성들을 보면서 느낀 통한에 더해 신앙의 자유를 위해 프랑스 정부의 역할이 필요함을 거듭 밝힌 게 특징이다.

두 서한이 기존 19통과는 달리 파리외방전교회 고문서고의 한국 관계 문서철이 아닌 중국 관련 문서철에서 발견된 점도 눈길을 끄는 부분. 천주교계는 이번 서한 발견을 계기로 한국 천주교회사와 관련된 적지 않은 사료들이 중국, 일본 관계 문서철에 들어 있을 것으로 보고 새 자료를 찾으려는 교회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한편 한국천주교 주교회의는 초기 박해시절 순교한 평신자들에 대한 시복시성을 요구한 평신도들의 건의를 받아들여 2009년 교황청 시성성에 순교자 124위와 최양업 신부의 시복시성 청원을 했다.

이 가운데 순교자 124위는 지난 3월 교황청 시성성 역사위원회 심사를 통과했으며 증거자 최양업 신부의 경우는 포지시오(심문장) 작성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

이와 관련해 이번에 발견된 최 신부 서한의 각주·해제를 맡은 방상근 한국교회사연구소 연구실장은 “최 신부의 경우 순교자가 아닌 증거자로 청원이 된 만큼 기적 입증 등 시복 심사가 까다로운데 최 신부의 사목과 희생을 보여주는 증거자료가 발견돼 고무적”이라고 밝혔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3-08-15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