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인대파열, 방치하면 퇴행성관절염으로 발전

십자인대파열, 방치하면 퇴행성관절염으로 발전

입력 2013-10-22 00:00
업데이트 2013-10-22 1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십자인대는 무릎의 관절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는 튼튼한 인대로, 무릎의 앞뒤에 X자 형태로 붙어있다. 이 십자인대는 종아리뼈가 앞으로 꺾이거나 관절이 흔들거리지 않게끔 해줘 관절운동의 정상 범위를 지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십자인대는 갑작스러운 무릎운동으로 인한 충격이 주원인으로 파열되는데, 주로 점프를 한 후 무리한 착지, 갑작스러운 운동방향 변화, 심각한 충돌, 교통 사고 등 예기치 못한 충격으로 인해서 발생하게 된다.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뚝’ 하는 파열음을 들을 수 있다. 십자인대파열 정도가 심각하게 나타난 경우에는 마치 무릎이 떨어져 나가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하며, 심각한 통증으로 인해 무릎을 아예 움직일 수 없게 되기도 한다.

하지만 십자인대파열이 부분적으로 일어난 경우에는 파열 직후 통증이 그리 심하지 않기 때문에 십자인대파열 여부를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방치된 십자인대파열은 무릎관절의 유동성이 증가함으로써 주변 연부조직들, 특히 연골판 파열을 초래하게 된다. 이 때 십자인대 부분파열을 방치할 경우 당장은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지 못할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관절 운동으로 인해서도 퇴행성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부분적 십자인대파열이 퇴행성관절염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해서는 십자인대 손상 직후, 조기 치료를 통해 빠른 회복이 필요하다. 아직 기능적으로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를 통해서도 충분히 회복이 가능하다.

십자인대파열의 보존적 치료방법으로는 근력 운동, 보조기 착용, 석고 고정 등 십자인대에 더 이상 무리를 주지 않고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치료방법들이 있다. 인대파열 정도가 심각해 이러한 방법으로는 치료가 힘들다면 인대 재건술을 통해 십자인대파열을 치료하고 추가적인 손상을 예방해줄 수 있다.

이 때 인대 재건술은 본인의 힘줄을 인대로 활용하는 수술로 합병증이 일어날 염려가 없고, 최소절개를 통해서 치료가 이뤄지기 때문에 시술 이후 약 4∼6주 가량 이후에는 문제 없이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하다.

바른마디정형외과 김상범 원장은 “인대 재건술은 인대파열로 인해서 복구가 힘든 인대를 제거해주고 환자의 무릎 안쪽의 힘줄을 활용해 인대를 재건해주는 방법”이라며 “인대 재건술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하기 때문에 절개부위가 크지 않아 회복이 빠른 것이 장점”이라고 말했다.

또 “십자인대파열은 생각보다 쉽게 찾아오는 질환인데 방치할 경우 그 후유증도 상당하다”며 “이 때문에 갑작스러운 신체활동을 할 때엔 신경을 써야 하며, 이상 증후가 느껴지면 곧바로 병원을 찾아가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