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72%, 업무시간외 메신저 스트레스

직장인 72%, 업무시간외 메신저 스트레스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16-05-23 16:14
업데이트 2016-05-23 16: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퇴근이후 연락이 84%로 가장 많아



이른바 ‘메신저 감옥’처럼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시도 때도 없는 업무 지시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직장인들이 많다.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업무 시간 외에 모바일 메신저로 업무 연락을 받아본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스마트폰 사용 직장인 1245명을 대상으로 ‘업무 시간 외에 모바일 메신저로 업무 연락 받은 경험’을 조사한 결과, 72.4%가 ‘있다’라고 대답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조사 결과(68.5%) 보다 3.9%p 상승한 수치다.

직급별로 살펴보면 ‘과장급’이 84.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리급’(79.5%), ‘부장급’(73.7%), ‘임원급’(68.1%), ‘사원급’(65.1%)의 순이었다.

이들은 일주일에 평균 2.8일 가량 연락을 받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락을 받은 때는 주로 ‘퇴근시간 이후’(84.2%, 복수응답)였다. 다음으로 ‘주말’(61.4%), ‘연차 등 휴가기간’(49.2%), ‘출근시간 전’(38%), ‘점심시간’(33.4%) 순으로 답했다.

연락한 상대는 단연 ‘직속 상사’(71.4%, 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 ‘소속 팀 동료’(45%)가 그 다음이었다. 이밖에 ‘타 부서 직원’(31.5%), ‘거래처’(30.3%), ‘CEO’(22.5%), ‘소속 팀 후배’(16.2%) 등으로 나타났다.

업무시간 외에 연락한 이유로는 ‘업무 처리를 시키기 위해서’(54.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급한 상황이 발생해서’(44.5%), ‘파일 위치 등 질문이 있어서’(36.6%), ‘업무 스케줄을 정하기 위해서’(26%) 등이 있었다.

이러한 연락에 대해 어떻게 대응했는지 묻자 과반을 넘는 60.5%가 ‘무조건 받음’이라고 응답했다. 이어서 ‘골라서 받음’(33.5%), ‘거의 안 받음’(5.2%), ‘전혀 받지 않음’(0.8%) 순이었다.

그렇다면, 업무시간이 아님에도 회사의 연락을 받은 이유는 무엇일까?

절반 이상인 51.3%(복수응답)가 ‘온 연락을 안 받을 수 없어서’를 선택했다. 다음으로 ‘급한 일일 것 같아서’(47.4%), ‘어차피 처리해야 할 일이라서’(45.1%), ‘회사 및 업무에 지장을 줄 수 있어서’(40.6%), ‘나중에 변명하기 싫어서’(33.1%), ‘남에게 피해가 갈 수 있어서’(23%), ‘어차피 읽을 때까지 남아있는 거라서’(21%) 등의 이유를 들었다.

이들 중 86%는 지시 받은 업무를 즉시 처리했다고 답했으며, 절반이 넘는 56.9%는 연락을 받고 회사로 복귀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직장인들 대다수(97%)는 업무시간 외 받는 연락에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밝혔다. 스트레스 강도는 ‘피곤한 수준’이라는 응답이 47.7%로 가장 많았으며,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는 응답도 26.8%나 되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