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국내 처음 벼 이기작(1년에 같은 땅에서 같은 품종 두 번 재배)에 성공했다. 온난화로 심해지는 봄가뭄 등 자연재해를 피해 벼를 기를 수 있는 게 가장 큰 이점이다.
도 농업기술원은 23일 예산군 신암면 기술원 내 시험용 논(660㎡)에서 자체 개발한 벼품종 ‘빠르미’를 수확했다. 이 벼는 4월에 심어 7월 27일 1차 수확한 뒤 사흘 뒤 같은 논에 모를 심은 것이다. 1·2차 생장기간이 각각 100일 안팎이다. 일반 벼는 4~5개월 걸린다. 윤여태 도 농업기술원 연구사는 “날씨가 따뜻한 5월 20일 이후 심었으면 생장기간을 80일 이내로 단축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미지 확대
충남도 농업기술원이 한 여름인 지난 7월 27일 기술원 시험논에서 콤바인으로 극조생종 벼 ‘빠르미’를 1차 수확(위쪽)하고, 사흘 뒤 2차로 같은 논에 이앙기로 빠르미 모를 심고 있다. 충남도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충남도 농업기술원이 한 여름인 지난 7월 27일 기술원 시험논에서 콤바인으로 극조생종 벼 ‘빠르미’를 1차 수확(위쪽)하고, 사흘 뒤 2차로 같은 논에 이앙기로 빠르미 모를 심고 있다. 충남도 제공
생산량도 1차에 10a당 513㎏, 2차 470㎏으로 삼광벼(569㎏)에 비해 별로 뒤지지 않는다. 윤 연구사는 “맛도 1차 수확한 벼를 방아 찧어 밥 해보니 삼광벼 못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빠르미는 도 농업기술원이 지난해 국산과 일본의 조생종 벼를 교배해 개발했다.
이기작 성공은 자연재해 회피 재배는 물론 노동력·농자재·농업용수 절감과 추석 전 햅쌀 시장 선점에도 장점이 있다. 이기작은 주로 날씨가 따뜻한 동남아, 미국 루이지애나 등에서 하고 국내는 경남과 전남 등 남부에서 시도했으나 생산량 저하로 성공을 못했다.
윤 연구사는 “농가 보급 여부는 내년 농사 전에 결정하겠다”면서 “이번에 빠르미의 ‘움벼(베어낸 그루에서 자란 벼)’ 재배 가능성도 확인해 이 부분 시험도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예산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