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비켜줘”…임산부석 앉아 ‘뿌듯’ 인증샷, 앞에는 임신부가

“안 비켜줘”…임산부석 앉아 ‘뿌듯’ 인증샷, 앞에는 임신부가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2-01-24 17:52
수정 2022-01-24 17: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60
한 남성이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에 앉아 임산부에게 자리를 비켜주지 않아 뿌듯하다는 내용의 글을 올려 공분을 사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한 남성이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에 앉아 임산부에게 자리를 비켜주지 않아 뿌듯하다는 내용의 글을 올려 공분을 사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한 남성이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에 앉아 임산부에게 자리를 비켜주지 않아 뿌듯하다는 내용의 글을 올려 공분을 사고 있다.

24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한 남성이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에 앉아 찍은 인증샷이 올라왔다.

임산부 배려석은 지난 2009년 서울시 시내버스에 도입됐고, 이후 2013년 서울 지하철에 도입된 이후 전국으로 확산됐다.

남성으로 추정되는 작성자는 게시물에 지하철 임산부석에 앉아 있는 다리를 찍은 인증샷을 함께 올렸다.

사진 속 다리 바로 앞에는 임산부 배지를 단 여성 승객이 서 있다. 작성자는 사진 아래 “안 비켜줘, XXX아 꺼져”라는 욕설도 썼다.

이 남성은 자신을 평가해달라는 의미의 제목과 함께 ‘뿌듯했던’이란 단어도 함께 썼다.

이 게시물은 ‘임산부한테 임산부 배려석 안 비켜줘서 뿌듯한 남성’이라는 제목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와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퍼져나갔다.

이를 본 네티즌들은 “남자 망신이다”, “너무한다”, “이런 사람은 신상을 밝히자”, “이걸 자랑이라고 올렸냐”, “안 비키는 건 자유라 치더라도 욕하는 건 너무했다”등 반응을 보였다.

반면 일부 네티즌은 “개인의 선택”, “양보는 의무가 아니다”는 등 옹호하는 목소리를 내놓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 지하철 임산부배려석 디자인 확 바뀐다
서울 지하철 임산부배려석 디자인 확 바뀐다 서울시는 지하철 내 임산부 배려석의 활성화를 위해 해당 디자인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시는 이용객 누구나 임산부 배려석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임산부배려존(zone)임을 알리는 스티커를 부착한다. 엠블럼도 눈에 띄도록 전체를 분홍색으로 통일하고 ‘내일의 주인공을 맞이하는 핑크카펫’, ‘서울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이라는 문구를 삽입한다. 임산부를 상징하는 픽토그램(그림문자)도 넣는다.
서울시 제공
임산부 배려석 관련 민원만 8000여건임산부 배려석 도입 후 6년여가 됐지만 임산부가 아닌 사람이 앉는 등 일부에서 배려가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2020년 서울 지하철 고객센터로 접수된 민원 중 임산부 배려석과 관련한 민원은 총 8771건으로 월평균 약 731건에 달한다.

가장 많은 배려가 필요한 임산부가 일부의 배려부족으로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것이다.

이런 배경에는 “강제하기 어렵다”는 고충이 있다. 또 ‘임산부 배려석은 늘 비워 놓아야 하는 자리’임에도 일부는 “임산부가 탑승하면 양보하면 되는 것 아니냐”는 반론도 있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공사 관계자는 “임산부 배려석 비워두기를 강제하는 건 어렵다”며 “임산부에 대한 배려가 우리사회에 확산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