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붉은 머리 학이 전하는 상서/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붉은 머리 학이 전하는 상서/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입력 2023-02-06 00:50
업데이트 2023-02-06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우리 미술의 최고봉이라 할 상감청자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건 아마도 구름 사이로 학이 날아가는 문양이 새겨진 운학문매병일 것이다. 상감청자 운학문매병이 워낙 유명해서 고려 사람들이 특별히 운학문을 애호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구름 사이로 하늘을 나는 학의 모티브는 상감청자보다 훨씬 먼저 미술에 표현됐다. 10세기경 송나라나 요나라 무덤 벽화에 학이 나온다. 묘실 내벽 윗부분에 학이 그려진 걸 보면 망자가 신선계에 오르길 희망하는 마음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
북송 황제 휘종, ‘서학도’, 12세기, 랴오닝성박물관.
북송 황제 휘종, ‘서학도’, 12세기, 랴오닝성박물관.
지안에 있는 고구려 오회분 4호묘와 퉁거우 사신총에도 학을 타고 있는 신선이 그려졌다. 이 벽화들에서는 학의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신선의 세계를 상징하는 학의 이미지가 이때 이미 자리잡은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학만을 그린 그림은 당나라 때 시작됐다고 보는데 남아 있는 것은 송의 무덤 벽화가 가장 이르다. 처음에는 띄엄띄엄 한두 마리 그리다가 이에 만족하지 않고 점차 많은 학을 그리게 된다.
이미지 확대
휘종, 수금체 서예, 12세기
휘종, 수금체 서예, 12세기
더 많은 복과 장생을 기원하는 마음을 담은 ‘서학도’도 그중 하나다. 고대광실 지붕 위로 무수한 학이 날아오르는 이 그림은 북송 황제 휘종 조힐(1082~1135)이 그렸다고 전해진다. 푸른 하늘과 흐릿한 갈색 구름이 대조를 이루는 화면 속의 학은 모두 머리가 붉은 단정학이다.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날아오른 모습이 상감청자 속 학과 같다. 길고 가는 목과 다리, 활짝 편 날개 묘사가 실제 학을 관찰하고 그린 듯이 자연스럽다. 화면의 약 3분의2를 푸른색으로 칠해 청아한 하늘의 느낌을 강조했고, 아래로는 자로 잰 듯 깔끔한 건물 지붕이 보인다. 지붕 꼭대기 양 끝의 처마에는 두 마리 학이 살포시 앉아 균형을 이룬다.
이미지 확대
신선도, 오회분 4호묘, 고구려, 집안
신선도, 오회분 4호묘, 고구려, 집안
휘종은 예술을 숭상하고 장려한 대표적인 군주였지만 정사에는 별 관심이 없어 송나라를 멸망의 길로 이끌었다는 비난을 받는다. 새로 발흥한 금나라의 침입을 막지 못해 결국 송이 무너지고 휘종과 아들 흠종 모두 금에 잡혀가 머나먼 타향에서 죽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궁중화원인 도화원을 전폭 지원하고, 각종 서화 및 골동품을 수집했을 뿐만 아니라 화가와 작품 목록을 담은 선화화보를 편찬해 후세에 전했다는 점에서 그가 다음 세대의 예술에 미친 영향은 실로 막대하다. 고려사 연구에 중요한 서적인 고려도경도 그가 보낸 사신 서긍이 쓴 것이다.

수금체라 불리는 그의 필체에 보이는 예민한 성품만큼 휘종의 예술적인 재능이 뛰어났던 건 분명하지만 실제로 황제인 휘종이 몸소 ‘서학도’를 그렸는지는 논란이 많다. 학을 그리고 친히 시를 지어 적장자가 아님에도 황제가 된 자신의 통치가 천명임을 강조하려는 휘종의 의도가 엿보인다. ‘서학도’는 1112년 정월대보름 다음날 구름이 낮게 드리운 가운데 학이 무리를 지어 궁궐에 날아와 오랫동안 머물렀던 상서로운 일을 기념한 그림이다. 올 한 해, ‘서학도’의 상서가 모든 이에게 실현되길 바란다.
2023-02-06 2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