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전체메뉴 열기/닫기검색
서울신문 ci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붉은 머리 학이 전하는 상서/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2-06 00:50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우리 미술의 최고봉이라 할 상감청자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건 아마도 구름 사이로 학이 날아가는 문양이 새겨진 운학문매병일 것이다. 상감청자 운학문매병이 워낙 유명해서 고려 사람들이 특별히 운학문을 애호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구름 사이로 하늘을 나는 학의 모티브는 상감청자보다 훨씬 먼저 미술에 표현됐다. 10세기경 송나라나 요나라 무덤 벽화에 학이 나온다. 묘실 내벽 윗부분에 학이 그려진 걸 보면 망자가 신선계에 오르길 희망하는 마음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북송 황제 휘종, ‘서학도’, 12세기, 랴오닝성박물관.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북송 황제 휘종, ‘서학도’, 12세기, 랴오닝성박물관.

지안에 있는 고구려 오회분 4호묘와 퉁거우 사신총에도 학을 타고 있는 신선이 그려졌다. 이 벽화들에서는 학의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신선의 세계를 상징하는 학의 이미지가 이때 이미 자리잡은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학만을 그린 그림은 당나라 때 시작됐다고 보는데 남아 있는 것은 송의 무덤 벽화가 가장 이르다. 처음에는 띄엄띄엄 한두 마리 그리다가 이에 만족하지 않고 점차 많은 학을 그리게 된다.
휘종, 수금체 서예, 12세기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휘종, 수금체 서예, 12세기

더 많은 복과 장생을 기원하는 마음을 담은 ‘서학도’도 그중 하나다. 고대광실 지붕 위로 무수한 학이 날아오르는 이 그림은 북송 황제 휘종 조힐(1082~1135)이 그렸다고 전해진다. 푸른 하늘과 흐릿한 갈색 구름이 대조를 이루는 화면 속의 학은 모두 머리가 붉은 단정학이다.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날아오른 모습이 상감청자 속 학과 같다. 길고 가는 목과 다리, 활짝 편 날개 묘사가 실제 학을 관찰하고 그린 듯이 자연스럽다. 화면의 약 3분의2를 푸른색으로 칠해 청아한 하늘의 느낌을 강조했고, 아래로는 자로 잰 듯 깔끔한 건물 지붕이 보인다. 지붕 꼭대기 양 끝의 처마에는 두 마리 학이 살포시 앉아 균형을 이룬다.
신선도, 오회분 4호묘, 고구려, 집안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신선도, 오회분 4호묘, 고구려, 집안

휘종은 예술을 숭상하고 장려한 대표적인 군주였지만 정사에는 별 관심이 없어 송나라를 멸망의 길로 이끌었다는 비난을 받는다. 새로 발흥한 금나라의 침입을 막지 못해 결국 송이 무너지고 휘종과 아들 흠종 모두 금에 잡혀가 머나먼 타향에서 죽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궁중화원인 도화원을 전폭 지원하고, 각종 서화 및 골동품을 수집했을 뿐만 아니라 화가와 작품 목록을 담은 선화화보를 편찬해 후세에 전했다는 점에서 그가 다음 세대의 예술에 미친 영향은 실로 막대하다. 고려사 연구에 중요한 서적인 고려도경도 그가 보낸 사신 서긍이 쓴 것이다.

수금체라 불리는 그의 필체에 보이는 예민한 성품만큼 휘종의 예술적인 재능이 뛰어났던 건 분명하지만 실제로 황제인 휘종이 몸소 ‘서학도’를 그렸는지는 논란이 많다. 학을 그리고 친히 시를 지어 적장자가 아님에도 황제가 된 자신의 통치가 천명임을 강조하려는 휘종의 의도가 엿보인다. ‘서학도’는 1112년 정월대보름 다음날 구름이 낮게 드리운 가운데 학이 무리를 지어 궁궐에 날아와 오랫동안 머물렀던 상서로운 일을 기념한 그림이다. 올 한 해, ‘서학도’의 상서가 모든 이에게 실현되길 바란다.
2023-02-06 26면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