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산이 점령한 수제맥주 원료인 맥아
대표적 보리 생산지인 군산이 맥아 국산화에 도전장
국내 최초로 ‘맥주보리 재배-맥아 가공-맥주 양조’ 생산체계 갖추고 세계인 입맛 공략 시동


군산 맥주. 군산시 제공
보리 농업의 도시, 수제맥주 산업 성장에 주목하다전북 군산은 미맥류(쌀,보리) 위주의 농업생산 구조를 갖고 있다. 특히, 보리는 이모작 작물로 군산 농업인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소득 작물이다. 그러나 해마다 보리 수매중단과 불안정한 판로확보에 보리재배가 큰 위기가 맞게 됐다. 군산시는 이를 극복하고자 보리 가공사업 육성 방안을 찾았다.


군산 맥주보리는 총 13농가, 35ha에서 재배되고 있다. 군산시 제공
장비도 인력도 없는 국산 맥아 산업, 황무지를 개척하다수제맥주 원료의 국산화가 전무한 상황에서 군산시는 생산장비, 제조기술, 전문인력 등 관련 정보나 기술적, 인적 인프라도 없었다.
시는 지난 2019년 최적인 맥주보리 품종을 선정하고, 맥주보리 재배단계에서부터 품질관리를 위해 농업인들 교육을 시작했다. 맥주보리 전용 재배단지 32ha도 조성했다. 2020년에는 군산맥아 제조시설을 구축하고, 맥아 제조기술을 확보, 표준화된 군산맥아 제조공정 개발을 완료했다.


군산 맥아 제조시설. 군산시 제공
한국 맥주 세계인을 공략한다군산맥아는 지난 2021년부터 15개 국내 수제맥주 양조장에 시제품 공급을 시작했다. 군산맥아를 이용한 제품도 출시됐다.
국내에서는 지난 1982년 국산 위스키 원액이 생산됐지만 대중화에 실패했고, 이후 국내에 두 곳의 소규모 위스키 증류소가 만들어졌지만, 위스키의 원료가 수입산 몰트(맥아)를 사용해 한국산 위스키라고 하기에는 다소 아쉬움이 남았다.
그러던 중 지난해 출시된 군산 맥아를 사용한 ‘김창수 위스키’가 처음으로 100% 한국 위스키 시대를 열었다. 지난해 ‘제1회 수제 맥주& 블루스 페스티벌’에서 공개하기 전 4월에 336병을 한정 출시한 ‘김창수 위스키’는 시장에 나오자마자 전량 매진되고, 재판매가가 100만원 넘게 거래되며 ‘오픈런’의 진풍경도 벌어졌다.
이후 ‘한미동맹 70주년 기념맥주’를 생산하기로 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도 냈다. 시는 주한미대사관과 군산맥아로 ‘한미동맹 70주년 기념맥주’를 생산하기로 하고, K-위스키 양조사업에 진출하는 신세계 L&B측과도 군산맥아를 사용한 위스키 양조를 공동 연구하기로 했다.
군산에서 즐기는 진짜 우리 맥주, 축제로 알린다무더운 여름을 시원하게 만들어줄 ‘제2회 군산 수제맥주 & 블루스 페스티벌’ 오는 16일부터 사흘간 군산근대역사박물관 일원에서 열린다. 1만6700여명의 방문객이 참여한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 행사다.
군산 수제맥주 페스티벌은 군산맥아를 주원료로 군산의 수제맥주 양조장들이 만든 맥주로만 진행된다. 슬로건도 ‘맥주보리와 맥아의 주산지 군산에서 즐기는 진짜 우리 맥주’로 정했다.
올해는 군산산업단지에 위치한 수제맥주 업체까지 총 4개의 군산맥주 업체가 참여해 지난해보다 더 다양한 군산 수제맥주를 선보이게 된다. 대만, 중국 등 교류도시 수제맥주, 군산맥아 위스키업체, 한국수제맥주협회 전시관도 운영된다.


‘제2회 군산 수제맥주 & 블루스 페스티벌’ 포스터.
강임준 군산시장은 “군산 수제맥주 페스티벌과 군산의 맥주산업 스토리는 전국 자치단체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며 “올해 두번째를 맞는 페스티벌을 독창적인 로컬문화컨텐츠로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성장 시키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