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 투쟁 YS 곁 지켜… 조용한 그림자 내조

민주화 투쟁 YS 곁 지켜… 조용한 그림자 내조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24-03-08 00:34
업데이트 2024-03-08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YS 부인 손명순 여사 별세

이대 시절 만나 한 달 만에 결혼
상도동 집에 온 동지들 밥 대접
YS “아내 맞은 일·민주화 잘해”
서울현충원 내 YS 묘역에 합장

이미지 확대
고 김영삼 전 대통령이 2011년 3월 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결혼 60주년 기념 회혼식에서 부인 손명순 여사에게 입맞춤하고 있다. 김 전 대통령은 입맞춤 전 “아내에게 꼭 들려주고 싶은 말은 ‘그동안 참 고마웠소. 사랑하오’ 이 두 마디뿐”이라고 했다. 연합뉴스
고 김영삼 전 대통령이 2011년 3월 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결혼 60주년 기념 회혼식에서 부인 손명순 여사에게 입맞춤하고 있다. 김 전 대통령은 입맞춤 전 “아내에게 꼭 들려주고 싶은 말은 ‘그동안 참 고마웠소. 사랑하오’ 이 두 마디뿐”이라고 했다.
연합뉴스
김영삼(YS) 전 대통령의 부인 손명순 여사가 7일 별세했다. 96세.

손 여사는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중증 폐렴으로 입원 치료를 받던 중 이날 오후 5시 39분 세상을 떠났다고 병원 측이 밝혔다. 2015년 김 전 대통령이 서거한 지 9년 만이다.

1929년 1월 16일 경남 김해에서 태어난 손 여사는 김 전 대통령과의 사이에서 김현철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 등 2남 3녀를 뒀다. 김 전 대통령은 장택상 국회부의장 비서로 있던 1951년 당시 이화여대 약학대학에 재학 중이던 손 여사를 중매로 만나 한 달 만에 결혼했다. 손 여사는 이대 약대를 수석 입학한 재원이었다.

김 전 대통령은 결혼한 지 3년 만에 정치에 투신한 뒤 평생을 야당 정치인으로 살았고, 손 여사는 그의 곁을 64년간 묵묵히 지켰다. 서울 동작구 상도동 집에 찾아오는 민주화 투쟁 동지들과 언론인들에게 날마다 밥과 멸치 시래깃국을 지어 대접한 일화는 잘 알려져 있다.

김 전 대통령의 측근인 상도동계 인사들은 “YS의 민주화 투쟁에서 손 여사의 내조가 필수적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손 여사는 김 전 대통령이 가택 연금 상태에서 단식했을 때 김 전 대통령 곁에서 성경을 10차례 이상 통독해 주며 마음을 다잡아 줬다고 한다. 외신 기자들에게 전화를 돌려 김 전 대통령의 단식 투쟁을 세계 곳곳에 알린 것도 손 여사다.

두 사람은 생전 부부애가 각별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김 전 대통령이 손 여사를 ‘맹순이’라는 애칭으로 부른 것도 유명하다. 김 전 대통령은 2011년 손 여사와의 결혼 60주년을 기념해 가진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인생을 돌이켜 보면 저 스스로 잘했다고 생각되는 것이 두 가지 있다. 민주화를 이룩한 일과, 60년 전 손명순 여사를 제 아내로 맞이한 일”이라며 각별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손 여사는 청와대 안주인 시절에도 참모 부인과의 모임을 없앨 정도로 대외 활동보다 조용한 그림자 내조를 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으로 발인은 11일 오전 8시다. 손 여사는 국립서울현충원 내 김 전 대통령의 묘역에 합장될 것으로 전해졌다.
명희진 기자
2024-03-08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