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고] ‘한국 추상화의 대가’ 이두식 화백

[부고] ‘한국 추상화의 대가’ 이두식 화백

입력 2013-02-25 00:00
업데이트 2013-02-25 0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추상화의 대가 이두식 화백이 23일 오전 별세했다. 사인은 과로로 인한 심장마비로 알려졌다. 66세.

이미지 확대
한국 추상미술의 맥을 이어 온 고(故) 이두식 홍익대 교수. 이 교수는 별세 하루 전 ‘이두식과 표현·색·추상’전 개막 행사에 참석해 자신의 작품 앞에서 마지막 모습을 남겼다. 연합뉴스
한국 추상미술의 맥을 이어 온 고(故) 이두식 홍익대 교수. 이 교수는 별세 하루 전 ‘이두식과 표현·색·추상’전 개막 행사에 참석해 자신의 작품 앞에서 마지막 모습을 남겼다.
연합뉴스
고인은 1947년 경북 영주에서 태어나 홍익대 미술대학과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일본 교토조형예술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0년대 말 본격적으로 화단에 진출한 이후 40여년간 한국 추상미술의 맥을 이어 왔다. 화려한 오방색과 강렬한 보색 대비를 기반으로 캔버스에 생명력을 불어넣은 작품이 특징이다. 1988년부터 그리기 시작한 페스티벌(잔칫날, 축제, 도시 풍경) 시리즈는 한국적 아름다움의 본질을 드러내고 ‘기운생동’의 힘을 뿜어내 한국인뿐만 아니라 중국인들에게도 사랑받았다.

1984년부터 모교인 홍익대에서 회화과 교수를 지내며 29년간 후학을 양성하고 국내외에서 70여회 개인전을 열었다. 2007년부터 부산비엔날레 운영위원장을 3차례 연임하면서 부산비엔날레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도 받았다.

오는 28일 정년퇴임을 앞둔 고인의 작품 세계를 돌아보는 ‘이두식과 표현·색·추상’전이 별세 전날인 22일 홍익대 현대미술관에서 개막하기도 했다. 4월 18일부터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드로잉을 포함해 작품 100여 점을 전시하는 대규모 회고전도 준비 중이었다.

고인은 제17대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한국 실업배구연맹 회장, 예술의전당 이사 등을 역임했다. 미술의해 보관문화훈장(1995), 인주문화상(2003), 문신미술상(2005) 등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아들 하린 건국대 예술학부 도자공예 조교수, 하윤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31호, 발인은 26일 오전 7시. 장지는 경기 파주시 청파동 성당 묘역. (02)2258-5940.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2-25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