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고] 한국화 1세대 원로 박노수 화백

[부고] 한국화 1세대 원로 박노수 화백

입력 2013-02-26 00:00
업데이트 2013-02-26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묵채색화로 첫 대통령상

이미지 확대
박노수 화백 연합뉴스
박노수 화백
연합뉴스
광복 이후 한국화 1세대 작가로 대한민국예술원 원로회원인 박노수 화백이 25일 오후 1시 20분 노환으로 별세했다. 86세.

1927년 충남 연기군(현 세종시)에서 태어난 고인은 한국 근대화의 아버지격으로 꼽히는 청전 이상범(1897~1972)의 제자이기도 하지만, 전통 도제식 교육을 벗어나 서울대 미술대학에서 처음으로 정규 교육 과정을 밟은 화가로 꼽힌다.

고인은 1953년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국무총리상을 받으면서 주목을 끌었고, 1955년 수묵채색화로서는 처음으로 대통령상을 받으면서 화려하게 화단에 등장했다. 이후 이화여대 교수, 서울대 교수를 지냈다.

선배들 세대가 한국식 전통 산수에서 벗어나 서구식 풍경화 기법을 도입하는 게 주된 과제였다면, 고인의 세대는 전통과 서구, 일본의 영향에서 벗어나 우리만의 그림을 어떻게 그릴 것인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다. 이 때문에 고인은 문인화가들이 채색을 배제하고 먹만 사용해 그림을 그릴 때에도 채색을 배제하지 않고 섞어서 썼다. 간결하고도 뚜렷한 선, 가볍고 맑은 채색, 자유분방한 형태가 눈길을 끌었다. 고인이 외로운 분위기의 말 한 필과 사람 하나를 자주 등장시키고 자신의 작업 방향을 ‘고예독왕’(孤詣獨往), 외롭게 가서 혼자서 온다는 말로 표현한 이유다.

2003년 뇌수종으로 쓰러진 뒤 2010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미술관에서 회고전 ‘봄을 기다리는 소년’이 열리기도 했다. 서울대 미대 교수, 서울미술대전 추진위원장, 대한민국예술원 미술분과 회장 등을 역임했다. 1987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1994년 5·16 민족상, 1995년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1995년), 2000년 3·1 문화상 등을 받았다. 배우 이민정이 고인의 외손녀로 알려져 있다. 수석과 고가구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집가였던 고인은 1000여점의 수집품을 서울시 종로구청에 기증, 오는 7월 종로구 옥인동 자택에 ‘종로구립 박노수 미술관’이 개관할 예정이다.

빈소는 신촌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은 27일 오전 9시. (02)2227-7587.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2-26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