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할머니’ 광복절 앞두고 별세

‘위안부 할머니’ 광복절 앞두고 별세

입력 2013-08-11 00:00
업데이트 2013-08-11 1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위안부 할머니 이용녀씨. 연합뉴스
위안부 할머니 이용녀씨. 연합뉴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녀 할머니가 11일 세상을 떠났다. 87세.

광복절을 앞두고 끝내 일본의 공식적인 사과를 듣지 못한 채 숨을 거뒀다.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은 이 할머니가 이날 오전 2시 30분 노환으로 포천의료원에서 운명했다고 전했다.

이 할머니는 1926년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나 16살 때 위안부로 끌려갔다. 어려운 가정형편 탓에 일본에서 돈을 벌게 해주겠다는 말에 따라나섰지만 부산항에서 배를 타고 한 달을 걸려 도착한 곳은 미얀마 양곤이었다.

이 할머니는 이곳에서 일본군 성노예로 갖은 고초를 겪다가 해방 이듬해인 1946년 귀국했다. 국내에서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 정신적 고통에 척추관 협착증까지 겹쳐 힘들게 생활했다.

그러나 1995년부터 나눔의 집에서 생활하며 일본군의 비인도적 만행을 국제사회에 알리는데 앞장섰다. 2000년 도쿄에서 열린 ‘일본군 성노예 전범 국제법정’에 참석, 증언을 통해 위안부 강제 동원·강간이 국제법상 전쟁 범죄·반인도 범죄임을 명확히 했다.

법정에서 승소했지만 민간 법정인 탓에 일본은 현재까지 재판 결과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에는 다른 피해 할머니 9명과 함께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에 말뚝을 세운 일본인 스즈키 노부유키를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하기도 했다.

이 할머니는 여생을 아들과 보내고 싶다는 평소 뜻에 따라 지난해말 나눔의 집을 퇴소했으며 식사를 못해 지난달 병원에 입원했다가 10일 만에 숨졌다.

이 할머니 별세에 따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 등록된 한국인 237명 가운데 생존자는 55명으로 줄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