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 뛰는 막걸리] 생산지·제조법 제한 ‘음식=술’ 이미지 구축

[세계로 뛰는 막걸리] 생산지·제조법 제한 ‘음식=술’ 이미지 구축

입력 2010-02-12 00:00
업데이트 2010-02-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진국 주류산업 육성 어떻게

술은 식품가공 형태 중 가장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이다. 세계 각국이 술시장 지원을 아끼지 않는 이유다. 2만원 수준인 쌀 10㎏을 가공할 경우 즉석밥은 10만원의 가치를 가지지만 증류주는 무려 21만 3000원의 가격이 매겨진다. 이 때문에 세계적 명주는 대부분 자국산 지역농산물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술산업 발전은 결국 농업과 지역발전으로 이어진다.

세계 명주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고급화와 다양화다. 자국 내 술 소비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영국은 200여개국에 생산량의 64%에 이르는 32만㎘, 4억 6000만병의 스카치 위스키를 수출한다. 영국 전체 보리 생산량 614만t의 28%가 위스키 제조에 쓰인다.

제조방법과 생산지역은 철저히 제한되고 숙성기간은 곧바로 등급으로 나뉘어 관리된다. 영국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위스키에 ‘스카치 위스키’ 상표도 부착하지 못한다. 프랑스는 원산지 및 품질관리(AOC) 제도를 통해 전체 생산량의 40%만을 인증한다. 특히 햇포도주 출시행사인 ‘보졸레누보’ 등의 이벤트를 전세계로 알려 세계화에 성공한 주류시장의 롤모델로 각광받고 있다.

후발주자인 한국은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눈여겨볼 만하다. 미국은 캘리포니아 나파밸리 와인투어로 연간 300만명의 관광객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우수한 포도 품종을 육종하고 양조 전문인력을 집중적으로 양성해 품질면에서도 프랑스 와인에 뒤지지 않는 경쟁력을 갖췄다.

일본은 2006년 일본식품 세계화 과정에 일본주를 전략적 식품으로 활용했다. 이 덕분에 ‘일본음식과 일본주=프랑스음식과 와인’이라는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구축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전략적으로 양조장을 육성하기 위해 일본주 전용쌀 품종과 양조기술을 개발했고 자국쌀과 인접지역 물을 사용한 술만 인정해 고급화에도 성공했다는 분석이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02-12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