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교육…아이폰에서 노벨상까지] 충북1위·서울 20위권밖 ‘강남효과’ 없는 과학 왜?

[창의교육…아이폰에서 노벨상까지] 충북1위·서울 20위권밖 ‘강남효과’ 없는 과학 왜?

입력 2010-07-20 00:00
업데이트 2010-07-20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자가 처음 이 데이터를 봤을 때 ‘우연’이거나 ‘약간의 이변’이라고 생각했다. 교육업계 사람들을 만난 자리에서 무심결에 얘기를 털어놓다가 낙종을 했음을 알아차렸다. 이 데이터가 “사교육에 노출되지 않은 학생일수록 창의력이 높을 수 있다.”는 주장에 설득력을 더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깨달음 때문이었다.

●작년 일제고사 상위 20위권중 ‘서울학교 0’

이 얘기는 지난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일제고사)의 과학 과목에 관한 것이다. 중학교 3학년과 초등학교 6학년의 순위를 토대로 ‘보통학력 이상 상위 20위’를 집계했더니 강남을 비롯해 서울지역 학교가 한 곳도 포함되지 못했다. 중 3학년에서는 충북 단양, 강원 영월, 충북 충주가 나란히 1~3위를 차지했다. 초등 6학년 1~3위는 충북 옥천·보은, 경북 영양이었다. 반면 서울 강남의 순위를 보면 초등 6학년 국어에서 16위, 수학에서 3위, 영어에서 1위를 차지했다. 강남 중 3학년도 국어·수학·영어에서 모두 1위에 올랐다. 유독 과학에서만 ‘강남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과목 조기 포기 학생 많아” 분석

왜 그랬을까. 교육업계에서는 여러 가지 가설을 내놓았다. 한 입시 전문가는 “과학 과목은 국어·영어·수학보다 과외를 덜 받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다른 입시 전문가는 “과학 과목을 조기에 포기하는 학생이 많기 때문에 학생수가 많은 곳일수록 일제고사 결과에서는 불리하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전남지역 한 교사는 “정부에서 실험 기자재 등을 보내줘서 연구 장비 등은 서울과 크게 다르지 않은데, 우리는 다른 할 일도 없어서 다 써 본다.”면서 “직접 실험을 하고 체험을 하면서 느끼니까 학생들의 성적도 잘 나오는 게 아니겠느냐.”고 되물었다. 그는 “학생들 중에 유독 흥미를 느끼고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해 묻는 학생도 있다.”고 덧붙였다.

실험을 통해 과학을 접한 뒤 유독 흥미를 느끼는 학생이 있다는 말에 교육업계 관계자들은 “사교육으로 만들어진 학생과 스스로 재미를 느껴 공부하는 학생에게는 차이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성적이 뛰어나지만 응용문제가 나올 경우나 풀이과정을 설명하라고 하면 당황하는 학생들이 적지 않다. 올해 일제고사 결과 과학 과목에서 서울 강남에 역전될 수도 있지만, 창의력이라는 것이 존재하고 길러질 수 있다는 점을 유독 과학 과목에서 약진한 시골 학생들이 보여준 것은 아닐까.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0-07-20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