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공공외교다] 한류 확산 못 따라가는 외국의 한국학 실태

[이제는 공공외교다] 한류 확산 못 따라가는 외국의 한국학 실태

입력 2011-08-03 00:00
업데이트 2011-08-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문가·연구자금난… ‘한국학’ 퇴출 대상 1순위 ‘꼬리표’

세계 무대에서 한류가 확산되고 한국 기업이 약진하고 있다는 보도가 줄을 잇고 있다. 하지만 학문적 뒷받침이 없으면 한순간의 유행에 그치기 쉽다. 중국과 일본은 유럽에서 꾸준히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노르웨이 오슬로국립대에서만 중국어와 일본어 과정 지원자가 해마다 200명이 넘는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은 정규 관리 인력을 50명이나 고용해 동아시아학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공공외교가 상대국 국민의 마음을 직접 얻는 외교라고 한다면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관점에서 상대국 국민의 ‘이해와 공감’을 높이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학술 교류, 특히 해외에서의 한국학 발전은 공공외교의 밑돌 다지기라고 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동아시아대 도서관이 위치한 동아시아센터 모습.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동아시아대 도서관 하노 레허 관장이 소장하고 있는 중국 관련 도서 앞에서 환하게 웃고 있다. 1960년대에 건립된 이 도서관은 독일에서 중국 관련 서적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동아시아대 도서관이 위치한 동아시아센터 모습.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동아시아대 도서관 하노 레허 관장이 소장하고 있는 중국 관련 도서 앞에서 환하게 웃고 있다. 1960년대에 건립된 이 도서관은 독일에서 중국 관련 서적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영국의 명문 옥스퍼드대에서 1994년 개설한 ‘한국학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높은 인기를 얻으면서도 늘 ‘퇴출 대상 1순위’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녔다. 한반도가 역사적으로 동북아시아 지역의 가교 역할을 한 덕에 이 대학의 중국학 및 일본학 전공자들은 “한국사는 동북아 역사에서 마지막 퍼즐 조각 같아서 한반도 역사를 배워야 이 지역 역사 학습을 완성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 대학은 2000년대 중반 재정난을 겪자 2007년부터 과정을 폐지하기로 했다. 한국학 과정은 1875년 설립된 중국학 과정이나 1960년 문을 연 일본학 과정에 비해 역사가 턱없이 짧은 데다 담당 교수도 2명뿐이어서 대학 운영자들은 문을 닫아도 큰 혼란이 없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 대학 관계자는 “한국 기관 등이 급히 지원금을 보내와 가까스로 문 닫을 위기에서 벗어났지만 영국의 다른 대학에서도 폐쇄 위기를 겪는 한국학 과정이 많다.”고 전했다. 셰필드대 역시 2009년 한국학 전공자인 제임스 그레이슨 교수가 퇴임하면서 한국학 과정이 덩달아 없어질 뻔했다.

이미지 확대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동아시아대 도서관이 위치한 동아시아센터 모습.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동아시아대 도서관이 위치한 동아시아센터 모습.
우리 정부에 따르면 해외의 한국학 과정은 가파른 확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현장 상황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사정은 여전히 열악하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12개국 69개 대학에 한국학 관련 교수 100명이 재직 중이고 한국학 강좌 수강생은 연간 9000명을 넘어섰다.

하지만 이 같은 수치에도 불구하고 한국학의 위상은 불안하다. 왜일까. 현장에서는 “한국학 프로그램 운영과 학술 연구 등에 쓸 자금을 확보하기 어려운 탓이 크다.”고 하소연한다. 리처드 부시 브루킹스 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 소장은 “예컨대 중국은 세계적 중요도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미국 내 투자자나 기관으로부터 손쉽게 연구 자금을 모을 수 있다.”면서 “한국의 경우에는 미국에서 지원금을 모으기 쉽지 않고 이 때문에 전문가 육성에도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지원자가 부족해 한국학 과정이 폐지되고, 이로 인해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도 배울 곳이 마땅찮은 현상도 일어나고 있다.

노르웨이 오슬로국립대는 2000년 한국어 학사과정을 개설했지만 그해 지원자가 2명에 그쳤다. 2002년 다시 학생을 선발했지만 역시 지원자는 2명뿐이었다. 2004년에 10명이 지원했지만 결국 이들이 한국어 과정을 수료한 2006년 이후로는 새로운 학생을 뽑지 않고 한국어과정 자체를 없애버렸다. 반면 중국어와 일본어 과정 지원자는 한 해에 200명이 넘을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다. 이 대학 박노자 동방언어·문화연구과 교수는 “한국어를 신청하는 학생이 있으면 자매결연을 맺은 서울의 대학에 교환학생으로 보내지만 그마저도 연간 한두 명에 그친다.”고 말했다.

한국어 교육 기관 운영에도 문제가 있다. 현재 해외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그 대상에 따라 외국인은 세종학당(16개국 28곳), 재외동포는 한국학교(30곳)·한글학교(1885곳)·한국교육원(39곳)이 맡는다. 하지만 소관 부서가 문화체육관광부와 재외동포재단으로 이원화돼 있다 보니 일관성 있는 사업이 이뤄지기 힘들다. 제2외국어로 한국어를 배워야 하는 재외동포도 많아 재외동포와 외국인으로 대상을 나눈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논란도 일고 있다.

최근 국제교류재단 주최로 서울에서 간담회를 가진 해외 한국학자들은 한국학 발전을 위한 예산 지원 강화를 촉구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예산 집행이나 사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한국학 사업의 속사정을 잘 아는 한 전문가는 “국내 기관들이 성과 위주로 연구 자금을 지원하고도 제대로 모니터링을 하지 않는 사례가 많다.”면서 “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하려면 ‘묻지 마 지원’ 행태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밝혔다.

하이델베르크·워싱턴 강국진 유대근기자 betulo@seoul.co.kr

2011-08-03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