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공공외교다] 옥스퍼드大 루이스 교수 “한국학 뿌리내리려면 10년 넘게 지원해야”

[이제는 공공외교다] 옥스퍼드大 루이스 교수 “한국학 뿌리내리려면 10년 넘게 지원해야”

입력 2011-08-03 00:00
업데이트 2011-08-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학이 해외에서 뿌리내리려면 기관과 기업 등이 나서 10년 넘게 꾸준히 지원해야 한다.”

제임스 루이스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한국사)는 해외 대학들의 한국학 과정이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기초학문 위주의 장기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옥스퍼드大 루이스 교수
옥스퍼드大 루이스 교수
→2007년 옥스퍼드대의 한국학 과정이 폐지 위기에 처했을 당시 이는 대학보다 한국의 문제라고 지적했는데.

-한국의 지원 기관들이 정치학이나 경제학에는 관심이 있지만 역사나 언어 등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 나는 가장 취약하고 어려운 학문에 지원해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언어를 알아야 학생들이 (한국) 신문도 읽고, 그래야 한국에 대한 관심도 생긴다.

→한국학 과정이 유럽 대학 내에서 불안한 지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는.

-지원 문제가 가장 크다. 영국 대학에서는 어떤 학문 과정이 10년 넘게 유지되면 영구적인 과정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그 이하라면 불안한 지위에 놓일 수밖에 없다. 뿌리를 내릴 때까지 지원해야 한다.

→일본은 기업들이 일본학 지원에 적극적이라던데.

-그렇다. 자동차 제조업체 닛산의 산하기관인 ‘닛산 연구소’는 1980년대 우리 대학에 300만 파운드(약 52억원)를 지원했고 5년 전 추가로 250만 파운드를 줬다. ‘자동차 회사가 문화에 신경을 쓴다.’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

→한국을 잘 아는 외국인 학자를 육성하는 것이 한국 정부 입장에서 왜 필요한 일인가.

-예컨대 1990년대만 해도 영국 내 한국 전문가가 많지 않아 영국 언론이 한국 소식을 전할 때 한국인의 입장에서 보면 엉뚱한 내용을 싣는 경우가 많았다. 당시 내가 언론사에 일일이 전화해 해당 사실을 설명하고 바로잡았다. 지금은 기자들이 먼저 전화를 걸어와 “한국 관련 기사를 쓰려고 하는데 이런 부분을 설명해줄 수 있는가.” 하고 묻는다.
2011-08-03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