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의 상상력을 기부하라] LA폭동 후 나눔의 소중함 깨달아… 히스패닉·흑인에게도 희망을 주다

[부자의 상상력을 기부하라] LA폭동 후 나눔의 소중함 깨달아… 히스패닉·흑인에게도 희망을 주다

입력 2012-08-06 00:00
업데이트 2012-08-06 0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다문화 청소년 돕는 ‘한인커뮤니티재단’

“누군가 내 꿈을 지지해 주니 이젠 외롭지 않아요.”, “늘 이방인이었던 나도 리더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이미지 확대
‘파서빌리티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미국 다문화 청소년들이 소수자로 살아가는 자신들의 경험을 녹여 만든 뮤지컬을 무대에서 펼쳐보이고 있다. 파서빌리티 프로젝트 제공
‘파서빌리티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미국 다문화 청소년들이 소수자로 살아가는 자신들의 경험을 녹여 만든 뮤지컬을 무대에서 펼쳐보이고 있다.
파서빌리티 프로젝트 제공
미국 다문화 청소년들의 자기계발 및 교류를 돕는 비영리기구 ‘파서빌리티 프로젝트’를 거쳐 간 아이들이 쏟아낸 ‘희망’들이다.

2년 전만 해도 이 단체의 지원을 받는 한국인 등 아시아계 청소년은 1명도 없었다. 하지만 지난해 갑자기 6명으로 늘어났다. 재미교포들이 2002년 설립한 한인커뮤니티재단(KACF)이 지난해부터 이곳에 기부금을 수혈하면서 생긴 변화다.

지난 6월 20일 뉴욕 맨해튼에서 열린 KACF 10주년 행사에서 만난 폴 그리핀 파서빌리티 프로젝트 회장은 “KCAF의 기부를 통해 앞으로 한인, 히스패닉, 흑인 청소년들에게 주고 싶은 혜택이 너무도 많다.”면서 “앞으로 미국사회를 이끌어 갈 이 아이들이 서로 다른 문화를 나누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면서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 가도록 돕고 싶다.”고 했다.

이들의 꿈을 이뤄 줄 KACF는 미국에서 성공한 한인 1.5~2세대들이 주축이 되어 세운 뉴욕의 한인지역재단이다. 김용 세계은행 총재, 고경주 미 국무부 차관보, 미 ABC 방송 앵커 주주 장, 배우 대니얼 대 김 등 미국 정부, 금융, 의료, 예술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한인들이 KACF의 행사나 기부에 기꺼이 동참한다. 이사진으로도 포진해 있다.

KACF가 퍼뜨리는 기부의 씨앗은 한인단체를 넘어서 현지 지역사회 단체까지 퍼져 있다는 데 의미가 크다. 올해 KACF가 이들에게 내준 후원금은 사상 최고액인 51만 달러(약 5억 8000만원)로 출범 이듬해인 2003년 6만 달러에서 8배 넘게 불어났다. 지원 단체도 같은 기간 5곳에서 18곳으로 대폭 늘었다. 지난 10년간 개인·기업들로부터 거둬들인 기부금 총액은 올해 280만 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다.

이날 맨해튼 사무실에서 만난 윤경복 KACF 사무총장은 더 큰 꿈을 말했다. “미국에서 더 나아가 글로벌 사회를 강하게 만드는 재단으로 뻗어가고 싶어요.” 역설적이게도 이들을 이끈 동력은 재미교포들에겐 ‘악몽’으로 남은 1992년 ‘LA폭동’이었다.

윤 총장은 “우리 부모님들, 이민 1세대만 해도 먹고살기 바빠 ‘기부’란 건 생각조차 못했는데 그런 우리를 충격에 빠뜨린 게 LA폭동이었다.”고 했다. ‘우리만 잘 먹고 잘살면 된다.’는 생각이 틀렸다는 걸 고통스럽게 깨달은 순간이었다. “그때 1.5~2세대들이 배운 게 우리는 앞 세대의 희생을 통해 미국 사회에서 장벽을 뚫고 성공할 수 있었던 축복받은 세대인 만큼 그 축복을 한인 커뮤니티, 미국 커뮤니티에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다리가 되자는 거였죠.”

미국 현지 단체에 대한 후원은 역으로 한인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늘리는 ‘긍정적인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다. 강효정 KACF 프로그램 팀장은 “가정폭력, 인신매매 피해 여성들을 돕는 뉴욕의 한 단체는 한인 피해 여성을 위한 법률·보건 상담 프로그램을 만들었고, 중국 여성에게 지원을 집중하던 뉴욕 플러싱의 한 암 단체도 한인 암 환자들을 정기적으로 찾아가 돕는 자리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들의 노력은 한국, 한국인에 대한 미국 사회, 특히 미국 지도층의 이해와 호감도 한층 끌어올리고 있다. 지난해 10월 마이클 블룸버그 뉴욕 시장이 취임 10년 만에 한인사회와 타운홀 미팅을 연 것도 KACF의 제안으로 이뤄진 ‘성과’였다. 당시 블룸버그 시장은 김치를 실온에 놔두는 한국 식당들의 관행이 번번이 미국 위생 단속에 걸린다는 식당 주인들의 애로사항을 듣고 “나도 김치 애호가인데, 김치 먹고 죽은 사람 봤냐.”며 개선할 것을 약속했다.

뉴욕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2-08-06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