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저출산 현장을 가다] (3) 싱가포르 공립 보육원·유치원 잘 나가는 비결

[세계의 저출산 현장을 가다] (3) 싱가포르 공립 보육원·유치원 잘 나가는 비결

입력 2013-12-02 00:00
업데이트 2013-12-02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공아파트 단지내 입주+사립의 20%수준 교육비 ‘인기 쌍끌이’

푸도퐁(64·여)은 싱가포르 북부 우드랜즈 지역의 싱가포르 주택개발청(HDB)이 분양한 공공아파트 단지에서 오늘도 한 살배기 손자를 안고 산책에 나섰다. 맞벌이 하는 딸 부부를 위해 평생 운영해온 세탁소를 그만두고 손자를 돌본다는 푸씨는 1년 뒤 손자를 아파트 1층에 위치한 공립보육원에 보낼 계획이다. 하지만 그는 “공립보육원과 유치원은 항상 대기자 명단이 너무 길어 자리가 날지 걱정”이라고 하소연했다. 그는 “지금은 어쩔 수 없이 딸 대신 내가 일을 그만뒀지만 언젠가는 손자 보기를 그만하고 일을 더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싱가포르 북부 우드랜즈 지역의 주택개발청(HDB) 공공아파트 1층에 위치한 공립유치원인 ‘인민행동당 커뮤니티 재단(PCF)’ 우드그로브 지점(오른쪽)에서 5세 아이들이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싱가포르 북부 우드랜즈 지역의 주택개발청(HDB) 공공아파트 1층에 위치한 공립유치원인 ‘인민행동당 커뮤니티 재단(PCF)’ 우드그로브 지점(오른쪽)에서 5세 아이들이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싱가포르에는 정년퇴직 후 노후를 위한 중앙적립기금(CPF)이라는 종합 사회보장제도가 있지만 생활비가 비싼 탓에 노년층도 일을 하는 게 일반적이다.

싱가포르 국민의 약 90%가 거주하는 공공아파트 1층에는 ‘인민행동당 커뮤니티 재단’(PCF)이라는 이름의 공립유치원이 자리잡고 있다. 지난 4월 싱가포르 교육부(MOE)와 사회가족발전부(MSF)의 유아교육, 보육 부문이 떨어져 나와 새롭게 출범한 유아발달국(ECDA)은 PCF 공립보육원(18개월~6세)과 유치원(4~6세) 총 237곳을 총괄한다. 1986년 싱가포르 여당인 인민행동당의 이름을 따 설립된 PCF는 정부가 조성한 기금으로 시설 건축, 교사 임금 등 운영이 이뤄진다. 싱가포르 정부는 애초부터 대부분 맞벌이인 신혼부부들의 편의를 위해 모든 HDB 공공아파트 단지에 공립 보육원과 유치원이 설치되도록 했다.

지난해 늦둥이 딸을 낳은 헬렌 안(43·여)은 싱가포르 남부 홀랜드 빌리지 지역의 PCF 보육원에 딸을 보내기 위해 신청서를 냈지만 역시나 대기자가 많은 탓에 내년 말쯤이나 들아갈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 안은 “관광 가이드라는 제 직업 특성상 출퇴근 시간이 비규칙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시간대에 아이를 손쉽게 맡길 수 있는 공립보육원을 선호한다”라며 “싱가포르 중산층 부부들은 더 많은 PCF 보육원과 유치원이 생기길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편리한 입지와 함께 공립보육원과 유치원의 교육비는 사립의 5분의1 수준으로 합리적이다. 특히 유치원의 경우 싱가포르에는 크게 공립·사립·국제학교 유치원이 있는데, 공립은 하루 4시간에 월 134싱가포르달러(약 11만원)이지만 사립은 600~700싱가포르달러, 국제학교 유치원은 1300싱가포르달러 정도다. 공립유치원도 영어로 수업을 하는 데다가 교사 1명당 학생 수가 7~15명으로 많지 않아 부모들은 굳이 사립을 고집하지 않는다.

베로니카 티(65) PCF 북부 지부장은 “공립 유치원은 아무래도 중산층 가정의 아이들이 많다 보니 중국계, 말레이계, 인도계 등 구성원이 다양하다”며 “덕분에 아이들은 더 자연스럽게 다양성을 배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1965년 말레이시아에서 분리, 독립한 싱가포르는 중국계(70%), 말레이계(14%), 인도계(8%) 등 다양한 민족 문화를 가진 이민자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

편리한 입지, 합리적인 가격 등 장점 덕분에 PCF에 아이를 보내려는 부모들은 항상 줄을 서 있다. 특히 올해 신설된 ECDA는 철저한 시설 관리감독 외에도 유아발달교육 향상을 위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어 맞벌이 부부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올해 2~10월 5세 이하 자녀를 둔 부모 3000명을 인터뷰한 ECDA는 부모들이 일반적으로 겪는 고충과 유아 교육 방식·태도 등을 수집해 지난달 올바른 유아교육 관련 정보를 담은 지침서를 발표했다. 생후 2개월 된 아들을 키우고 있는 공무원 고 카이 휘(32)는 싱가포르 일간 스트레이트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당국이 보육원이나 유치원에 단순히 지침사항을 전달하는 게 아니라 부모들에게도 유아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이슈들을 이해시키려고 시도하는 건 매우 좋은 것 같다”고 평가했다.

켈리 창(45) PCF 우드그로브 지점 원장은 “만약 공립교육 시스템이 정말 잘 갖춰져 있다면 싱가포르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도 점차 해결될 것”이라며 “현재 정부가 출산하는 부부에게 충분한 보조금을 제공하는데도 출산율 제고가 미미한 이유는 유아교육시설이 아직 부족하고, 고등교육에서는 특히 사교육 시장이 너무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싱가포르 정부는 공립 유아교육시설을 늘리기 위해 올해 예년보다 10억 싱가포르달러 늘어난 116억 싱가포르달러(약 9조 8500억원)를 투입했으며, 향후 5년간 예산을 2배 이상 늘리겠다고 밝혔다.

창 원장은 “앞으로 공립 유치원·보육원 200곳이 더 늘어나 유아 1만 6000명을 더 수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정부가 PCF를 늘리려는 이유는 더 많은 엄마들이 (아이를 맡기고) 일터로 돌아가길 바라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글 사진 싱가포르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3-12-02 4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