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3만명 시대] 생계형 탈북 옛말… 이민형 엘리트 탈북 대세

[탈북 3만명 시대] 생계형 탈북 옛말… 이민형 엘리트 탈북 대세

강병철 기자
입력 2016-11-14 22:32
업데이트 2016-11-15 0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브로커 탈북 경로 일반화…정착 후 계층하락 딜레마

국내 입국 탈북민이 3만명을 돌파한 가운데 최근 탈북의 특징은 북한에서 살 만하던 중산층의 탈북이 늘었다는 점이다. 과거의 궁핍을 벗어나기 위한 ‘생계형 탈북’에서 자녀 교육이나 자유사회 동경,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 ‘이민형 탈북’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14일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에 있었을 당시 생활수준이 ‘하급 수준’이라고 답한 응답자 비율은 2001년 이전 76.6%에서 2014년 이후 33.2%로 급감했다. 2014년 이후 탈북민 중 ‘중급 수준’이라 답한 경우는 59.7%였으며 ‘상급 수준’이라는 응답은 7.1%였다. 탈북을 결심한 이유로 ‘배고픔과 경제적 어려움’을 꼽은 비율은 2001년 이전에는 70%에 육박했으나 2014년 이후 12.0%로 급감했다. 대신 ‘자유 동경’이란 응답 비중은 올해 34.8%로 급증했다. 경제적 이유보다는 비경제적인 이유로 남한행을 택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 8월 망명한 태영호 주영 북한대사관 공사가 대표적인 사례다. 엘리트층인 태 공사는 북한에서도 안정된 삶은 보장돼 있지만 자녀 교육 등 문제로 북한으로 돌아가기 싫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수학 영재 등 올해 줄줄이 이어졌던 ‘엘리트 탈북’의 대다수는 중국 등 해외에서 생활하거나 활동한 경험이 있는 경우였다.

근래 중산층 이상의 탈북이 증가한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분석이 나온다. 남한 정보의 북한 내 유통, 김정은의 ‘공포정치’에 따른 회의감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일각에서는 2000년대 이후 ‘탈북 브로커’에게 거액을 지불하고 탈북 루트에 따라 남한으로 넘어오는 방식이 일반화되면서 어느 정도 부를 축적한 계층이 귀순하는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그러나 남한 정착 이후 상당수 탈북민들은 계층 하락을 경험하는 것도 현실이다. 지난해 통일부 등의 조사에 따르면 탈북민의 73.2%는 자신이 남한에서 ‘하류층’이라고 답했다. 또 탈북민의 20.5%는 ‘최근 1년간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 봤다’고 답하는 등 삶의 질이 낮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6-11-15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