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온라인은 지금 ‘댓글 전쟁’] “불법 댓글 가려내라” 포털 24시간 감시… 또 감시

[커버스토리-온라인은 지금 ‘댓글 전쟁’] “불법 댓글 가려내라” 포털 24시간 감시… 또 감시

입력 2013-03-09 00:00
업데이트 2013-03-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음·네이버 500여명 3교대로 모니터링

“하루하루가 불법 게시물과의 전쟁입니다. 순식간에 수십 건씩 올라오는 게시물을 거르고 삭제하느라 정신이 없어요. 500명의 모니터링 인원이 3교대로 실시간 감시하기에도 버겁습니다.”

허신길 다음서비스 클린운영센터 파트장은 아침에 출근하자마자 포털사이트에 끊임없이 올라오는 불법 게시물과 씨름한다. 잠깐 커피라도 마시려 자리에서 일어났다가도 이상 징후가 감지됐다는 경보가 울리면 급히 자리로 되돌아오기 일쑤다. 사무실 벽면에 걸린 대형 모니터에는 경고 알람이 실시간 표시된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의 자회사인 다음서비스는 제주 본사에 있으며 클린운영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NHN과 다음커뮤니케이션이 서비스하는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의 모니터링 인원은 각각 500여명이다. SK커뮤니케이션즈의 네이트가 300여명 수준이다. 네이버와 다음의 모니터링 요원이 3교대로 근무하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투입되는 인원은 170명 정도다. 이들이 하루에 수십만개씩 올라오는 댓글과 동영상, 블로그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한 포털업체 관계자는 “댓글이나 게시물 삭제 기준에 따라 처리하고 있지만 솔직히 해석하기 애매한 것들이 많다”면서 “특히 정치적인 이슈에 대한 댓글이나 게시글에 대해서는 불법 ‘댓글 알바’라고 단정할 수 있는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모니터링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댓글 알바의 경우 모니터링을 피하기 위해 한 아이디로 올리는 댓글 횟수를 제한하고 있으며 아이디를 사용하는 기간도 길지 않다”며 “24시간 전수조사를 하고 있지만 특정 인터넷주소(IP)를 차단하기는 어렵다”고 토로했다.

지난 대선 당시 직원을 고용해 불법 댓글 알바팀(일명 십자군 알바단)을 운영한 혐의로 구속 기소된 SMC 윤정훈(39) 대표가 7일 공판에서 자신의 혐의를 일부 시인했다. 윤씨는 사무실에 컴퓨터 8대 등을 설치하고 대선 관련 글 900여건 가운데 3분의2를 직접 작성했다고 밝혔다. 또 국가정보원 직원 김씨의 불법 댓글 선거운동 논란도 진행형이다.

불법 댓글이나 게시물 등에 대한 부작용이 개선되지 않는 이유로 포털의 책임론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클릭 수를 높여야 광고 매출을 늘릴 수 있는 포털의 수익 구조상 여론 조작이나 명예훼손 등의 우려가 있어도 근본적인 대책을 세우지 않는다는 것이다. 네이버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박근혜 콘돔’ ‘안철수 룸살롱’ 등의 검색어 조작 의혹과 관련해 검색어 서비스 투명성 강화 방안을 내놓기도 했지만 클릭을 유도하는 실시간 검색어나 키워드 등의 서비스는 폐지하지 않는다고 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정치적 이슈 등에 대한 여론 형성을 위해 동원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댓글 알바 등은 모니터링 관점에서 고려 대상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자체적으로 삭제 여부 판단이 모호할 경우는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를 통해 개별 게시물 등에 대한 불법 및 청소년 유해 여부 등을 심의해 해당 게시물의 처리 방법을 결정하기도 한다.

나현수 KISO 선임연구원은 “회원사가 삭제 여부에 대한 심의를 요청하면 정책위원회에 상정해 결정한다”며 “정치적 이슈 글이나 게시물도 악의적인 명예훼손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30일 동안 임시적으로 차단하는 임시 조치를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3-03-09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