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대한민국은 힐링 중] 힐링, 너는 어디서 왔니

[커버스토리-대한민국은 힐링 중] 힐링, 너는 어디서 왔니

입력 2013-07-13 00:00
업데이트 2013-07-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60년대 그레이엄 목사 ‘힐링 목회론’ 대량소비에 지친 미국인 보듬어, 한국엔 고속성장 후유증 겪던 90년대 상륙 멘토링과 맞물려 확산…정치인도 애용

힐링(치유) 문화의 연원은 1960년대 미국 개신교의 힐링 목회론에서 찾을 수 있다. 빌리 그레이엄 목사는 당시 힐링 목회론을 통해 미국 개신교의 비약적인 성장을 이끌었다.

1960년대 미국은 본격적인 대량소비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냉장고, 세탁기, TV 등이 거의 모든 가정에 보급됐다. 대량소비 사회는 노동과 일상과의 괴리, 고독, 매너리즘이라는 부작용을 낳았고, 교회들은 이런 사람들의 마음을 파고들었다. 그 결과 미국에서 ‘메가 처치’(대형교회·성인 출석 교인수 2000명 이상인 교회)들이 크게 늘었다.

힐링 목회론은 교회 활동을 통해 정글 같은 세상에서 생존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상처받은 개인에게 위로를 건네는 것을 교회 운영의 목표로 삼는다. 힐링 목회론은 1970대 국내에 유입되기 시작해 1990년대에 전체 개신교로 퍼졌다. 일부 교회에서 힐링목회 상품을 내놓으면 다른 교회들이 앞다퉈 모방하는 일도 벌어졌다. 또 신학대학원에서는 목회상담학 분야로 학생들이 쏠렸다. 목회상담이란 교인을 정신치료가 필요한 대상으로 보고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한다.

1990년대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은 5.8~9.7%에 달했다. 김진호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연구실장은 “초고속 성장으로 국민 소득은 빠르게 늘었지만 그럴수록 산업화·도시화 때문에 외로움·상실감을 겪는 사람들도 많아졌다”면서 “사람들의 아픔을 교회가 발빠르게 각종 힐링 프로그램으로 위로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대중화된 교회 음악(CCM)이 유행한 것도 이때다.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 등은 일반인에게도 유명하다.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시는 사랑을 우리가 알고 믿었노니 하나님은 사랑이시라’라는 성경구절(요한복음)이 모티브다.

2000년대 힐링은 점차 다른 종교는 물론 전 사회적 현상으로 자리 잡아 갔다. 기독교와 관련이 있든 없든 많은 기업이 힐링을 마케팅 기법으로 상품화하기 시작했다. 템플스테이나 요가가 대중화된 것도 이때다. ‘외롭고 힘드니까 치유가 필요하다’는 것이 주된 논리였다.

대학에서는 멘토링을 제도화했다. 멘토링은 원래 선교 방식 중 하나였다.그러나 대학에서는 선배와 후배를 ‘멘토’와 ‘멘티’로 묶어 선배가 후배의 고민을 상담하고 진로에 도움을 주는 제도로 변형됐다. 비(非) 종교화된 ‘목자와 양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정치권 역시 힐링을 유권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도구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대선 때는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등 주요 대선 주자들이 청년 등의 멘토를 자처하면서 각종 ‘토크 콘서트’를 열었다.

세종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3-07-13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