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친아들보다 먼저 챙긴 아이들 잘 자라 찾아오면 눈물이 나죠

[커버스토리] 친아들보다 먼저 챙긴 아이들 잘 자라 찾아오면 눈물이 나죠

입력 2013-11-23 00:00
업데이트 2013-11-23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정보호위탁사업 10년] 16년 동안 60명 맡아 키운 성정순씨

성정순(56)씨의 경기 남양주시 자택에는 지난 16년간 그의 품을 떠난 아이 60명의 사진이 있다. 성씨는 빛바랜 사진들이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추억이라고 말한다.

16년 동안 위탁모 생활을 해 온 성정순씨가 22일 경기 남양주시의 자택에서 입양을 앞둔 민지(가명)를 돌보고 있다. 성씨는 “입양아 학대 관련 기사가 나올 때마다 가슴이 덜컥 내려앉는다”면서 “내가 키워 보낸 아이들이 모두 행복하게 자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16년 동안 위탁모 생활을 해 온 성정순씨가 22일 경기 남양주시의 자택에서 입양을 앞둔 민지(가명)를 돌보고 있다. 성씨는 “입양아 학대 관련 기사가 나올 때마다 가슴이 덜컥 내려앉는다”면서 “내가 키워 보낸 아이들이 모두 행복하게 자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성씨는 1997년부터 입양 전 아이들의 ‘엄마’ 역할을 해왔다. 그는 22일 “사실 처음엔 돈이 필요해서 시작했다”고 털어놨다. 이어 “1996년 남편 사업이 부도가 나서 내가 돈을 벌어야 될 상황이었다”면서 “당시 막내아들이 어려서 집에서 할 수 있는 일을 찾던 차에 교회 동료의 권유로 이 일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성씨는 이제 이 일을 끊을 수 없다고 말한다. 그는 “아기가 있으니까 집안에 활력이 사라지지 않는다”면서 “힘든 일이 있어도 아기가 애교를 부리고 예쁜 짓을 하면 마음이 즐거워진다”며 활짝 웃었다.

그는 자신의 손을 거쳐간 아이들에게 ‘억척 엄마’였다. 성씨는 ‘맡아 키우는 아기가 예쁘냐, 손자, 손녀가 예쁘냐’는 다소 짓궂은 질문에도 단호하게 “내 손으로 키운 아기들이 더 예쁘다”고 답한다.

그는 2002년 당시 초등학교 6학년이었던 친아들(23)이 수두에 걸리자 당시 맡아 키우고 있던 아기에게 전염될까봐 아들을 10일간 올케에게 맡기기도 했다. 성씨는 “당시 의사가 아기에게 이미 수두가 전염돼 잠복기일 수도 있다고 해서 아기를 사무실(대한사회복지회)에 맡길 수도 없었다”면서 “외숙모 집에서 지내다 돌아온 친아들이 ‘엄마는 나보다 아기가 중요하냐’고 물었던 걸 보니 엄청 서운했었던 것 같다”며 멋쩍게 웃었다.

아기 덕에 즐겁다고 하지만 그는 벌써 59번의 이별을 겪었다. 지금 맡아서 키우고 있는 민지(가명)도 스웨덴으로 입양이 정해졌다. 생후 4개월 때 성씨 집에 와서 벌써 10개월을 함께 살았다. 성씨를 “엄마”라고 부를 정도로 자랐다. 정도 많이 들었다. 성씨는 “아이를 보낼 때 사무실이 떠나가라 울기라도 하면 정말 힘들다”면서 “특히 개정 입양법이 까다로워져 아이를 데리고 있는 기간이 길어지니 그만큼 슬픔도 더하다”고 토로했다. 이어 “아이를 보내고 아팠던 마음을 새로 오는 아이로 치유하는 것 같다”면서 “그것 또한 이 일을 그만둘 수 없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가 키워 보낸 한 아이가 올 봄 미국인 아버지와 함께 찾아왔다. 5학년이 된 아이가 서툰 한국어로 “키워주셔서 감사합니다”고 했을 때 기쁨의 눈물이 쏟아졌다고 했다. 성씨는 “시간이 날 때마다 벽에 걸린 아이들의 사진을 하나하나 들여다본다”면서 “아기들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라 훌륭한 사람이 되기를 기도한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3-11-23 1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