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개천에서 용 나는 사회를] 삼성그룹 교육기부 ‘드림클래스’

[다시 개천에서 용 나는 사회를] 삼성그룹 교육기부 ‘드림클래스’

입력 2013-02-07 00:00
업데이트 2013-02-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신감, 내 꿈에 붙었다

충남 태안군 이원면 내리에 사는 조유리(15·이원중 2년)양에게 이번 겨울방학은 아주 특별했다. 유리는 주변을 둘러보면 온통 산과 들판뿐인 곳에서 자랐다. 시내에 가려면 30분 이상 버스를 타야 했다. 빌딩숲과 혼잡, 그리고 ‘학원순례’에 진저리를 친다는 대도시 학생들의 얘기가 때론 부럽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22일 연세대에서 진행된 드림클래스 방학캠프 수업 모습. 캠프 마지막날이어서 그런지 수업에 임하는 대학생 강사나 아이들의 열의가 더욱 뜨겁게 느껴진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지난달 22일 연세대에서 진행된 드림클래스 방학캠프 수업 모습. 캠프 마지막날이어서 그런지 수업에 임하는 대학생 강사나 아이들의 열의가 더욱 뜨겁게 느껴진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나도 대도시의 유명 학원에서 영어·수학 과외를 받아봤으면….” 가뜩이나 영어와 수학 실력이 부족한 유리의 꿈이었다.

그런 유리가 겨울방학을 맞아 서울에 있는 연세대학교에서 지난 1월 3일부터 23일까지 3주 동안 합숙을 했다. 아침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영어와 수학만 공부했다. 교사는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이화여대·성균관대학교 재학생이었다.

지난달 22일 연세대 새천년관 2층의 한 교실. 이른 아침 수학수업이 한창이었다.

“필수 예제 1번 다시 해봐. 거기서 무리수만 찾아봐. 이거 꼭 외워야 되는 거야.”

선생님의 목소리에 힘이 실렸다. 2열 두 줄로 나눠 앉은 10명의 여학생들은 칠판과 책을 번갈아 보며 열심히 필기 중이었다. 같은 달 3일부터 시작된 겨울방학캠프의 마지막 수업날인 데다 오후에 평가시험이 있어서 그런지 분위기가 진지했다. 노란색 상의를 맞춰 입은 여학생들이 뿜어내는 학구열이 금세 전해져 왔다.

그토록 받고 싶었던 영·수 과외(?)였지만 정말 지겹게 공부를 했다. “아우, 정말 공부를 너무 많이 시켜요. 숙제하느라 잠도 제대로 못 잘 지경이에요. 그런데 너무 재밌어요.” 자동반사처럼 불만부터 튀어나왔지만 얼굴에는 웃음이 가득했다.

“평소 영어에 관심이 많았는데 선생님들이 너무 잘 가르쳐 주신다”며 유리는 눈을 반짝였다. “캠프 입소 때 평가시험을 봤는데 중학교 3학년 과정이 나와서 사실 거의 다 찍다시피 했어요. 그런데 오늘 시험은 잘볼 것 같아요.” 부쩍 자신감이 붙은 목소리였다.

유리가 참여한 ‘겨울방학캠프’는 같은 기간 연세대 외에 서울대와 고려대, 이화여대, 성균관대에서도 열렸다. 대상은 경기·경북·전북·충남·충북 등 지방의 오지에 있는 중학생으로 모두 1300명이 혜택을 받았다. 강사로는 430명의 대학생이 참여했다. 한 반은 학생 10명에 대학생 강사 3명(수학 1명·영어 2명)으로 구성됐다.

이 캠프는 삼성그룹의 교육기부 사업인 ‘드림클래스’의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다. 지난해 8월 서울대에서 시범적으로 열렸던 여름방학 캠프의 효과가 기대 이상으로 크게 나타나자 이를 확대한 것이다. 도서벽지에서 태어났다는 이유로 각종 교육혜택에서 소외되고, 진학과 장래에까지 영향을 받는 구조를 조금이나마 탈피하기 위한 시도다.

일단 효과는 만점이다. 학생들의 만족도도 높고 성적 향상에도 보탬이 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여름방학 캠프에 참가했던 한 남학생은 이후 학급에서 줄곧 1등을 놓치지 않고 있다. 특히 영어와 수학 두 과목의 전교 석차는 86등, 100등씩 껑충 뛰어 학교 관계자들을 놀라게 했다. 이 학생의 담당 교사는 “성실하긴 했지만 급식 지원을 받을 정도로 어려운 형편으로 아토피 피부염까지 있어 늘 소극적이었는데 방학캠프 이후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변했다”고 드림클래스 사무국 측에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3-02-07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