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112주년-파워! 코리아] GS건설, 중동·아프리카서 정유 플랜트 앞장

[창간 112주년-파워! 코리아] GS건설, 중동·아프리카서 정유 플랜트 앞장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6-07-17 15:20
업데이트 2016-07-17 15: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GS건설 직원들이 사회공헌 사업으로 지역 어린이들의 공부방을 리모델링해준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GS건설 제공
GS건설 직원들이 사회공헌 사업으로 지역 어린이들의 공부방을 리모델링해준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GS건설 제공
1969년 락희개발 설립으로 시작한 GS건설은 1975년 럭키개발로 이름을 바꾸며 본격적인 성장을 시작했다. 이후 중동 건설 바람이 불던 1977년 해외 건설 공사 면허를 취득해 중동 시장에 진출, 1984년에 이르러 해외 건설 10억 달러 건설 수출탑을 수상하며 국내 대표 건설사로 자리 잡았다. 이후 1995년 3월 LG건설로 이름을 바꾸고, 1999년 LG엔지니어링을 흡수합병하며 현재 사업 구조의 큰 뼈대를 완성했다. 이어 2005년 3월 GS건설로 출범하며 제2의 성장기에 접어들었다.

GS건설의 본격적인 성장은 아파트 브랜드 ‘자이’의 론칭과 함께 시작됐다. 아파트 브랜드로는 후발주자였지만 자이는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며 단숨에 업계 최고 자리에 올라섰다. 혁신으로 시작된 자이의 성공은 GS건설의 성장을 견인했다.

자이 론칭을 시작한 2002년에 7800억원이던 주택 부문 매출은 8년 후인 2010년에는 2조 3500억원으로 3배 가까이 늘었다. 이로 인해 GS건설의 전체 매출도 같은 기간 3조 1000억원에서 8조 4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주택뿐만 아니라 정유 플랜트 부문에서 국내 최고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국내에서 LG석유화학과 GS칼텍스의 주요 공정을 진행하며 기술력을 축적한 GS건설은 해외 정유 플랜트 시장에서도 대표 주자로 꼽힌다.

최근에는 중동뿐 아니라 아프리카, 동남아 등 세계 주요 정유 플랜트 시장에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6-07-18 4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