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유산 톡톡] 도시재생 공간에 꽃핀 ‘봉제거리박물관·역사관’

[미래유산 톡톡] 도시재생 공간에 꽃핀 ‘봉제거리박물관·역사관’

입력 2019-05-15 17:34
업데이트 2019-05-16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엄태호 서울도시문화연구원 연구원
엄태호 서울도시문화연구원 연구원
종로구 창신동 하면 떠오르는 몇 개의 단어를 생각해 본다. 의류산업의 배후 봉제공장, 열악한 주거 환경, 한양도성 인접마을, 매운 족발로 대표되는 먹거리 동네를 떠올리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이 지역은 2007년 뉴타운지역으로 지정돼 새로운 희망을 찾고자 했으나 일률적인 재개발 사업으로 지칭되는 뉴타운 정책에 대해 가옥주나 세입자 모두에게 환영을 받지 못하고 해제됐으며, 2014년에는 도시재생 선도 지역으로 지정돼 2017년까지 진행됐다. 노후한 주거환경과 도시의 건조 환경에 대한 점진적인 개선으로 주거의 안전성과 주민들의 삶을 향상시킨다는 측면과 정부의 지원을 대폭 강화해 자체적인 자생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이 강점이었던 정책이었다.

어릴 때 창신동 도시형 한옥에서 지내던 기억과 교사 생활을 하면서 가끔 추억에 젖어 거닐던 창신동이 지금은 분명 아니다.

도시재생 사업으로 인해 창신동 647번지 일대는 봉제거리박물관이 조성됐고, 그 골목 끝 지점에는 이음피움 봉제역사관이 들어서서 봉제산업의 발전을 넘어서서 지역 경제를 떠받쳐 주는 구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창신동에서 학창 시절을 보냈던 세계적인 비디오아티스트 겸 플럭서스 예술가인 백남준의 집터를 발굴해 ‘백남준을 기억하는 집’과 작지만 아름다운 주민자치적인 카페를 운영해 문화적인 자부심이 넘치는 창신동을 만들어 가고 있음을 봤다.

창신동은 원단을 실어 나르는 오토바이 행렬, 집집마다 미싱 돌아가는 모습은 옛 모습을 띠고 있다. 그러나 보다 역동적이며 활기찬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정돈된 골목길과 개선된 주거지의 모습, 몇몇 지점의 마을 공동 이용 시설, 그리고 주민 자체적인 협동조합의 형성 등을 통한 주민 스스로가 이끌어 가는 도시재생프로그램으로 인해 봉제산업의 현장과 예술가의 추억을 더듬는 관광객이 몰려드는 동네가 되고 있음을 이번 답사 준비를 하면서 느낄 수가 있었다.

엄태호 서울도시문화연구원 연구원
2019-05-16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