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톡톡 다시 읽기] ‘시즌2’ 어떻게 달라지나

[고전 톡톡 다시 읽기] ‘시즌2’ 어떻게 달라지나

입력 2011-02-28 00:00
업데이트 2011-02-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자 중심’ 접근 그들의 내면 포착 가상 대화 나눌것

지난해 초 ‘연구공간 수유+너머’와 서울신문이 함께 기획한 ‘고전 톡톡(Talk Talk) 다시 읽기’는 총 56회에 걸쳐 매주 월요일 독자들을 찾아갔다. 특정 학자나 특정 분야의 전공자만이 아닌 수유+너머 남산·R·강원·구로 등 전국 곳곳 연구원 24명의 필진들이 참가해 동서고금의 ‘문제적 고전’들을 두루 해부했다.

단순한 내용 요약 혹은 정보 제공, 계몽적 접근으로서가 아니라 ‘고전과 내 삶의 상관성’을 일깨워 주며 고전 읽기의 흥미를 배가시켰다는 전문가들의 평을 얻었다.

독자들의 반응도 뜨거웠다. 작은 오탈자에도 곧바로 신문사로 전화를 걸어와 바로잡아 주었고, 부득이하게 한 주를 건너뛰게 되면 “고전이 왜 안 보이느냐.”는 항의성 전화를 쏟아냈다.

예상을 뛰어넘는 열기에 수유+너머와 서울신문은 ‘시즌2’를 준비했다. 지금까지의 시즌1이 작품 중심이었다면 오는 3월 7일 새로 시작하는 시즌2는 사람 중심이다. 고전이라는 큰 틀의 화두는 같되, 그 명저를 남긴 저자의 내면에 좀 더 집중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작가의 치열했던 삶의 한 순간을 포착할 수도 있고, 그렇게 활동할 수밖에 없게 만든 시대배경을 짚어보기도 하며, 그 속에서 배움을 얻는 후대의 독자와 가상 대화를 나누기도 할 것이다.

첫 테이프는 수유+너머 대표 연구원이자 국내 몇 안 되는 고전 평론가인 고미숙 박사가 연암 박지원에게 띄우는 연서(戀書)로 끊는다. 이어 비트겐슈타인, 최남선, 사드, 박제가, 네루다, 발터 벤야민, 김시습, 버지니아 울프 등 한 시대를 뜨겁게 풍미했던, 지금껏 삶을 돌아보기만도 벅찬 호걸가인들이 매주 월요일 지면 위에서 뛰놀게 된다. 등장인물은 예술가, 혁명가, 사상가, 정치인, 종교인 등 다양하다. ‘개별 고전’이라는 텍스트에 얽매이지 않고 인물 중심으로 접근함에 따라 그들 각각 사상의 정수를 입체적으로 조망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고미숙 박사는 27일 “훌륭한 인물들에 대한 단순한 위인전 성격이 아닌, 지금의 우리와 호흡하고 대화 나누는 지점을 포착할 것”이라면서 “시즌2는 자서전 쓰기의 새로운 전형을 창출하는 작업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2-28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