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천안함 대응조치’ 속도조절하나

정부, ‘천안함 대응조치’ 속도조절하나

입력 2010-05-30 00:00
업데이트 2010-05-30 16: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태도-국제정세 등 다양한 변수 주시하는 듯

 정부가 ‘천안함 대응조치’를 놓고 속도조절에 들어간 듯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 24일 개성공단을 제외한 남북간 교역 중단,유엔안보리 회부,대북 심리전 재개 등의 강경조치를 발표한 뒤 일주째를 맞은 30일 변화 기류가 감지되고 있어서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당초 기상 여건 때문에 전단 살포를 연기해왔는데 정치적인 상황도 고려해 대북 전단 살포를 당분간 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지난 28일까지 북한에 확성기,전광판 등을 이용한 대북 심리전을 ‘단호하게 재개한다’는 입장과 약간 다른 기류가 느껴진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심리전을 문제삼아 개성공단 통행 차단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우리가 먼저 북한을 자극하는 행동을 취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남북 사이의 마지막 끈으로 남은 개성공단에 대해서도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지난주 우리 국민들의 신변안전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평일 체류인원을 절반 수준으로 줄인 뒤 인력철수 등의 추가조치는 현 상황에서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내일부터 개성공단 평일 체류인원이 550명으로 줄어들 것”이라면서도 추가조치 여부에 대해서는 “당분간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가 위탁가공을 통해서 북측 지역에서 생산된 완제품의 국내 반입을 사안별로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도 대북 조치를 완화한 측면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정부는 금주 중으로 천안함 침몰사태의 안보리 회부절차에 공식 착수할 방침이지만 그 내용은 새로운 추가제재조치를 담기보다 북한을 규탄하고 사과 및 재발방지를 촉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외교가는 보고 있다.

 정부의 이 같은 행보는 한일중 정상회담을 통해 천안함 사태에 대해 협력하기로 합의한데다 한반도 긴장이 지나치게 고조되는 것이 좋을 것이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북한도 당분간 개성공단 폐쇄 등의 도발적 조치를 취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30일 한일중 정상회의 직후 “현재 가장 시급한 것은 바로 천안함 사건으로 인해 생긴 영향을 해소하고 긴장을 점차적으로 해소하며 특히 충돌을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국제사회에서 유일한 우방으로 꼽히는 중국의 메시지를 무시하기 힘들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더구나 북한은 개성공단 통행차단 등을 위협하면서도 지난 4월부터 공단에 근로자를 추가로 공급하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남북 당국은 당분간 개성공단 등에 대해 극단적 조치를 배제하고 한반도를 둘러싼 상황변화를 긴장감 있게 주시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남북간 우발적인 군사적 충돌,천안함 사태의 안보리 회부시 북한의 반발 등의 변수에 따라 남북간에는 긴장수위가 다시 높아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