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천 “구제역 침출수, 퇴비로 활용”…비판 여론 ‘봇물’

정운천 “구제역 침출수, 퇴비로 활용”…비판 여론 ‘봇물’

입력 2011-02-17 00:00
업데이트 2011-02-17 17: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나라당 구제역대책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운천 최고위원이 “구제역 매몰지의 침출수로 퇴비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정 최고위원은 17일 최고회의에서 “지난 10년간 4차례 구제역으로 생겨난 384곳의 매몰지에서 환경오염이 없었고, 정부가 매몰지 전수조사를 통해 다음달 말까지 보완·정비를 할 예정”이라면서 “침출수 문제가 과장됐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정운천 한나라당 최고위원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정운천 한나라당 최고위원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그는 “제가 농사를 지어봐서 잘 안다.”고 운을 뗀 뒤 “구제역 침출수는 화학적 폐기물이 아니라 유기물로 잘 활용하면 퇴비를 만들 수 있고, 현재 신기술도 계속 개발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자연의 섭리와 정화능력은 대단하다.”면서 “침출수가 재앙이 될 것이다, 매몰지 질병이 지하수로 퍼질 것이다라는 주장은 과장됐다.”고 강조했다.

 회의를 마친 정 최고위원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침출수가 이미 유출됐다거나 가축 매몰수에 병균이 우글된다는 언론보도는 과장된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하지만 환경단체는 침출수의 성분에 대한 아무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 이를 퇴비로 쓸 수 있다는 주장은 무책임한 발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김정수 시민환경연구소 부소장은 “침출수에 어떤 미생물이 있는지, 그 미생물이 인체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조사가 안 된 상황 아니냐.”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침출수 등 매몰지에 대한 과학적 조사”라고 지적했다. 박상표 국민건강을위한수의사연대 정책국장도 “일각에서는 침출수를 랜더링(가축을 고열로 처리해 유지를 짜내는 처리 방식)하는 방법도 논의하고 있지만 이동 중 전염병을 퍼뜨릴 우려가 있다.”면서 “기술적인 해결책 없이 가축 사체도 유기물이니 활용하자는 것은 현실을 전혀 모르는 단순한 주장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야권도 반발하고 나섰다. 우위영 민주노동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최고위원이라는 분이 이렇게 무책임하고 근거없는 이야기를 함부로 할 수 있는지 기가 막히다.”면서 “본인이 농사를 지어봤다는 것이 침출수로 퇴비를 만들 수 있다는 근거가 되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진보신당 역시 “정 최고위원과 한나라당은 안일한 인식과 근거 없는 낙관에서 하루빨리 벗어나 침출수 재앙을 막을 현실적이고 과학적인 대책 마련에 힘쓰라.”고 지적했다.

 대부분의 네티즌들 역시 정 최고위원의 주장이 비현실적이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네티즌 민정기씨는 “아무런 과학적 증거 제시없이 침출수가 좋은 퇴비가 될 수 있다는 것은 무책임한 말”이라며 “국민들은 환경재앙에 떨고 있는데 그렇게 쉽게 말할 수 있나.”라고 비판했다. 이밖에 “침출수로 만든 퇴비로 상추를 길러서 정 최고위원에게 주자”, “정 최고위원이 구제역 사태에 대해 얼마나 안일하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