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정운찬 불만제기 방식 바람직하지 않아”

靑 “정운찬 불만제기 방식 바람직하지 않아”

입력 2011-03-20 00:00
업데이트 2011-03-20 15: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와대는 20일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사퇴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거론한 데 대해 다소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국무총리까지 지내 대권 주자 반열에 오르내리는 정 위원장이 자신이 내놓은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해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이 비판하자 사퇴를 거론한 것은 적절치 않은 처신이었다는 것이다.

더구나 4.27 재보선에서 정 위원장의 분당을 출마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일부 언론을 통해 자신의 거취를 밝힌 것을 두고 곤혹스러워하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그러잖아도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와 정 위원장의 경쟁 구도에서 특정 정치세력이 이들을 각각 밀고 있다는 소문으로 잡음이 커지는 가운데 이런 일까지 불거졌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한 논란은 내부적으로도 얼마든지 조율이 가능한 문제”라면서 “정 위원장이 공개적으로 얘기하는 바람에 큰 문제가 없는데도 마치 큰 문제가 있는 것처럼 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 위원장은 국무총리까지 지낸 분으로서 행정부에 이러한 이견이 있을 때 조정하는 역할을 하던 분”이라면서 “논란을 일으키는 공개적인 문제제기 방식을 택한 게 다소 의외로, 바람직한 게 아니다”고 밝혔다.

이는 정 위원장의 문제 제기가 최 장관의 비판에 대한 불만을 넘어 이명박 대통령이 경제 분야의 공정 과제로서 추진 중인 대기업.중소기업 동반성장 정책에 대한 의지 자체에 의문을 나타낸 것으로도 해석될 여지가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청와대는 초과이익공유제가 청와대나 정부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고 선을 분명히 긋고 있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정부에 아직 보고가 이뤄지지 않은 단계로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의 인사로 구성된 동반성장위원회에서 충분히 논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 위원장은 19일 자신이 내놓은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해 홍준표 한나라당 최고위원 뿐만 아니라 주무 부처인 지식경제부 최중경 장관까지 비판하자 “나보고 일하지 말라는 것 아니냐”면서 사퇴를 검토한다고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